스크린도어 7

한글문화연대, 507명의 기자 의견 반영하여 언론 대상 집중 개선 용어 60개 선정

한글문화연대는 지난 5월 ㈜두루소통연구소와 함께 기자들을 대상으로 쉬운 우리말 기사 용어에 관한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기사에 자주 등장하는 100개 용어의 개선 필요성을 5점 척도로 평가하는 이 조사에는 총 507명의 기자가 참여하였다. 한글문화연대는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국어 전문가와 언론단체, 현장 기자들의 자문을 거쳐 개선 가능성이 높은 외국어 용어 60개를 다음과 같이 최종 선정하였다. 507명의 기자와 함께 선정한 집중 개선 용어 60개 목록 순서 개선대상용어 최종 다듬은 말 1 보이스피싱 전화금융사기, 전화사기 2 피싱 전자금융사기, 금융사기, 사기 3 메신저 피싱 대화방금융사기 4 스미싱 문자결제사기, 문자사기 5 몸 캠 피싱 불법촬영협박, 몸촬영협박, 신체불법촬영협박 6 테이저건 전기충..

일상 속 오늘의 다듬은 말 - 자동계단, 승강기, 안전 손잡이, 자동길

궁금한 우리말 다듬은 말 알아보기 ‘자동계단’을 이용할 때는 ‘안전손잡이’를 꼭 잡으세요 서울 등 대도시에는 지하철이나 전철이 발달해 있어서 차가 밀리는 도로를 이용하는 대신 전철을 이용하면 제때에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어서 참 편리합니다. 지하철 역에는 계단이 많아서 노약자가 이용하기에는 불편하기도 합니다. 다행히 역 대부분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고, 다리가 불편하거나 나이 드신 분들은 엘리베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에스컬레이터에서는 안전을 위해 반드시 핸드레일을 잡아야 합니다. 계단을 이용할 때도 서로 부딪치지 않도록 우측 보행을 해야 합니다. 이동 거리가 꽤 먼 역에는 무빙워크가 설치되어 있는 곳도 있습니다. | 승강기, 오른쪽 걷기, 자동길(왼쪽부터) 여기에 외국어, 외래어, 어려운..

대중을 위하지 않는 대중교통

한국은 명실상부 대중교통이 잘 발달한 나라다. 지하철과 버스 연결망이 촘촘히 구축되어 있어 시민들이 자가용 없이도 이동하기 편리하다. 정류장마다 이름과 노선도를 큼직하게 안내하고 실시간으로 도착 버스의 정보를 알려주는 전광판까지 갖추었다. 버스에 타면 도착하기 전에 해당 정류장뿐만 아니라 다음 정류장까지도 친절한 목소리로 안내해준다. 시민들이 내려야 하는 정류장을 놓치지 않게 해주는 고마운 기능이다. 우리나라 대중교통이 시민들의 편의를 위해 최신 기술을 도입하여 발전을 거듭하고 있지만, 기술에 비해서 비교적 간단한 언어 문제 때문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시민들이 있다. 먼저 노선의 이름이 외국어, 외래어로 되어있어 불편을 겪는 경우를 소개하려고 한다. 버스 정류장의 이름을 정할 때는 근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