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바다 운동 3

아나바다 운동은 친환경적이지만 친경제적은 아니다

아나바다 운동은 친환경적이기는 해도 친경제적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 1978년에 우리나라가 겪었던 외환위기라는 특수 상황에서는 물건을 적게 소비하는 것이 미덕일지 몰라도 자본주의 경제 제도에서는 물건을 많이 소비하는 것이 미덕이다. 우리나라의 모든 국민이 돈을 쓰지 않고, 곧 물건을 사지 않고 절약하고 저축만 한다면 어떻게 될까? 팔리지 않는 물건들은 창고에 쌓이고 공장은 생산을 중단하게 될 것이다. 그렇게 되면 공장 노동자들은 일자리를 잃고 경기가 침체될 것이다. 환경을 보호하려다가 나라 경제를 망칠지도 모른다.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서, 한번 산 물건을 아껴 쓰고 오래 사용하는 것은 좋은 일인가? 싱어(Singer)라는 이름의 재봉틀 이야기는 이 질문에 대해서 시사점을 준다. 독일 이민자의 아들로 태어..

아나바다에 만족하지 말고 순환경제로 나가야 한다

환경학자는 여러 가지로 설명하겠지만, “친환경적으로 산다”라는 것을 쉽게 표현하면 자원과 에너지의 소비를 최소화하는 삶을 말한다. 요즘 지구 차원에서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인 지구온난화를 막기 위해서 UN에서는 ‘탄소 중립’을 목표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탄소중립은 모든 인류가 자원과 에너지의 소비를 현재보다 줄여야 달성할 수 있다. 자원과 에너지의 사용을 줄이자는 목적의 사회 운동으로서 ‘아나바다’가 있다. 아나바다는 1997년 11월, 우리나라가 IMF 외환위기기로 인해 경제적으로 매우 어려울 때 나타난 사회 운동이다. 당시 우리나라는 기업들이 쓰러지고, 자영업자들이 파산하고, 실업자가 쏟아져 나오고, 물가는 치솟고, 많은 사람이 희망을 잃고 자살하는 상황에 부닥치게 되었다. 대한민국 독립 이후 최대 경..

읽기 좋은 글, 듣기 좋은 말 - 준말은 ‘덫’이다

호기심 많은 청소년들은 새말을 즐겨 쓴다. 참신한 새말은 유행어가 되기도 하지만, 특히 또래들과 동질성을 느끼려는 청소년들에게 특별한 의사소통 수단이 되면서 은어가 되기도 쉽다. 인류사를 통틀어 어느 때든 새로 생기는 말이 없었으랴. 사회와 문화가 바뀌면 새말은 생성되기 마련이다. 그런데 유독 한국 사회는 새말로 인한 의사소통의 책임을 청소년의 언행과 연결 짓는 경향이 있다. 한 해를 마무리할 때면 온라인상에는 ‘한 해의 신조어’가 발표된다. 새말은 한 해를 살아 낸 사람들이 어떤 생각에 공감했는지를 알려 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말을 만들어 내는 방법을 가늠하게도 한다. 다 아는 바와 같이, 2020년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 것은 물론 코로나19 사태이다. 지구촌 모든 이들의 삶을 송두리째 뒤흔든 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