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박싱 4

국민이 뽑은 다듬은 말 1위 ‘비대면 서비스’

국민이 뽑은 다듬은 말 1위 ‘비대면 서비스’ - 2020년 국립국어원 ‘새말모임’, 145개 용어 다듬어 - 2020년 한 해 동안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 이하 국어원)이 선정한 다듬은 말 중 국민이 가장 적절하다고 평가한 말로 ‘비대면 서비스’가 꼽혔다. ‘비대면 서비스’는 사람과 사람이 직접 만나지 않고 이루어지는 서비스로, ‘언택트 서비스’를 알기 쉽게 대체한 말이다. 올해 1월부터 문체부는 ‘쉬운 우리말 쓰기 사업’의 하나로 국어원과 함께 새로 유입된 외국 용어를 대체할 다듬은 말을 제공해 왔다. 먼저 언론사 및 공공기관에서 배포한 기사와 보도 자료를 매일 검토해 새로 유입된 외국 용어를 발굴하고, 이들 중 공공성이 높은 외국 용어를 새말모임*에서 ..

'소프트 파워' 대신 '문화적 영향력'…언박싱은?

최근 방탄소년단(BTS)이 한국 가수로는 최초로 미국 빌보드 메인 싱글차트 핫100 1위에 오르면서 문화·예술 등 콘텐츠 중심의 '소프트 파워' 강국의 가능성을 확인시켜줬습니다. 소프트 파워(soft power). 여러분은 이 단어의 의미를 아시나요? '소프트 파워'란 정보 과학이나 문화·예술 따위를 앞세워 상대방의 행동을 바꾸거나 저지할 수 있는 힘을 일컫는 말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국립국어원은 얼마 전 '소프트 파워'를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문화적 영향력'을 선정했습니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소프트 파워'와 함께 '언박싱'을 '개봉' 또는 '개봉기'로 부르기로 했습니다. 언박싱(unboxing)은 상자를 열어 상품을 개봉하는 과정을 보여 주거나 그런 과정을 찍는 영상을 말합니다. 최근 유튜브에서 ..

‘소프트 파워’는 ‘문화적 영향력’으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와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 이하 국어원)은 ‘소프트 파워’를 대체할 쉬운 우리말로 ‘문화적 영향력’을 선정했다. ‘소프트 파워’는 정보 과학이나 문화ㆍ예술 따위를 앞세워 상대방의 행동을 바꾸거나 저지할 수 있는 힘을 가리키는 말이다. 문체부와 국어원은 지난 5월 11일부터 13일까지 열린 새말모임*을 통해 제안된 의견을 바탕으로 의미의 적절성과 활용성 등을 다각도로 검토해 ‘소프트 파워’의 대체어로 ‘문화적 영향력’을 최종 선정했다. * 새말모임: 어려운 외국어 신어가 널리 퍼지기 전에 일반 국민들이 이해하기 쉬운 우리말 대체어를 제공하기 위해 국어 전문가 외에 외국어, 교육, 홍보‧출판, 정보통신, 언론 등 다양한 분야 사람들로 구성된 위원회로서, 누리소통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