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표준 발음법 제6장 경음화 제25항 이 조항은 겹받침 'ㄼ, ㄾ'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때의 경음화는 어간이 'ㄼ, ㄾ'으로 끝나는 용언의 활용형에서만 일어난다. ‘여덟’과 같이 'ㄼ'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는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여덟도, 여덟과’의 경우 ‘[여덜또], [여덜꽈]..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13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20항 이 조항은 유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한 것이다. ‘ㄹ’과 ‘ㄴ’이 인접하면 ‘ㄴ’이 ‘ㄹ’에 동화되어 ‘ㄹ’로 바뀌게 된다. 이 현상이 동화에 속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현상은 ‘ㄴ’이 ‘ㄹ’에 앞서는 경우와 ‘ㄴ’이 ‘ㄹ’ 뒤에 오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1)은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8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1항 이 조항은 제10항과 더불어 겹받침이 어말이나 자음 앞과 같은 음절 종성에서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규정하고 있다. 제10항과 반대로 이 조항에서는 겹받침을 이루는 두 개의 자음 중 앞선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따라 은 음절 종성에서 앞선 ‘ㄹ’이 탈락하게 된..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5
제2부 표준 발음법 제3장 음의 길이 제7항 이 조항은 장단의 변동 중에서도 특히 장모음의 길이가 짧아지는 현상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길이가 짧아지는 현상에는 앞의 제6항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모음이 단어의 둘째 음절 이하에 놓일 때 일어나는 것도 있지만, 이 조항에서는 용언 어간 뒤에 어미나 접미사가 결합할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1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5항 (2) ‘다만 2’는 ‘ㅖ’의 발음과 관련된 조항이다. 이중 모음 ‘ㅖ’는 표기대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예, 례’를 제외한 나머지 환경에서는 이중 모음 대신 단모음 [ㅔ]로 발음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그래서 이러한 발음 현실을 감안하여 ‘예, 례’와 같이 초성이 없거나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9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5항 (1) 이 조항은 국어 이중 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따르면 국어에는 총 11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이러한 이중 모음은 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반모음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ㅑ, ㅒ, ㅕ, ㅖ, ㅛ, ㅠ’는 각각 반모음 ‘ㅣ[j]’와 단모음 ‘ㅏ, ㅐ, ㅓ, ㅔ,..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8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40항 (2) [붙임 1] 그런데 준말에서 ‘ㅎ’이 어간의 끝소리로 굳어져 있는 것은 전통에 따라 받침으로 적는다. ‘이러하다, 그러하다, 저러하다, 어떠하다, 아무러하다’ 및 ‘아니하다’ 등이 줄어든 형태가 여기에 속한다. 아니하다→않다 그러하다→그렇다 아무러하다→아무렇다 어떠하다→..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