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해침꾼 7

2024년 우리말 사랑꾼에 글꼴 개척자 석금호 산돌 전 의장 등 3명

2024년 우리말 사랑꾼, 우리말 해침꾼 선정  - 우리말 사랑꾼에 글꼴 개척자 석금호 산돌 전 의장 등 3명  - 우리말 해침꾼은 ‘에코델타동’ 추진한 부산 강서구청장 김영찬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는 578돌 한글날을 앞두고 우리말 사랑꾼으로 석금호 전 산돌 의장, , 원광호 한국바른말연구원장, 이경우 서울신문 기자 등 셋을, 우리말 해침꾼으로 김영찬 부산 강서구청장을 뽑았다.  석금호 산돌 전 의장은 한글 글꼴의 대표적인 개척자로서, 1984년에 글꼴 전문 기업인 산돌을 세우고 최근까지 1천여 종에 이르는 글꼴을 개발, 보급해왔다. 초중고교에 무료로 글꼴을 배포하여 어린 시절부터 한글의 멋을 체험하도록 도왔고, ‘산돌 구름’이라는 온라인배급망을 만들어 글꼴의 산업화에도 앞장섰다.  ..

한글문화연대 '우리말 사랑꾼'에 손연호 경동나비엔 대표 등

한글문화연대는 우리말을 올바르고 쉽게 사용한 올해 '우리말 사랑꾼'에 손연호 경동나비엔 대표이사, 박계윤 장흥한의원 원장, 진관우 숨탄것들 대표를 각각 선정했다고 6일 밝혔다. 손연호 대표는 지난해 1월 재단법인 한글누리를 설립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한글누리는 훈민정음의 창제 원리와 우수성을 널리 알리기 위한 연구를 하고 국어학·언어학 연구자들과 한글 관련 단체를 지원하고 있다. (중략) 반면, '우리말 해침꾼'에는 유정복 인천시장이 뽑혔다. 한글문화연대 측은 최근 인천 송도국제도시를 영어통용도시로 조성하려는 사업이 추진되는 점을 거론하며 "우리말과 한글을 해칠 뿐 아니라 행정력과 사회 비용을 낭비하는 정책"이라고 비판했다. 출처: https://www.yna.co.kr/view/AKR2023100604..

외국어 남용 공공기관, 이대로 괜찮을까?

(출처: 헤럴드경제 인터넷뉴스) 공공기관에서 영어와 로마자 알파벳을 이용해 문서를 작성하는 일이 빈번하다. 위 사진은 지난해 순천에서 ‘열린정원’에 대한 보도자료 원문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정원 힐링 테라피’, ‘정원 스토리텔링 티파티’, ‘Beer & Non-Alcohol’ 등 한국어와 외국어를 결합한 단어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한글을 찾아볼 수 없는 표현들은 보도자료를 본 사람들을 당황하게 만든다.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은 쉽게 읽을 수조차 없다. (출처: 수원뉴스 인터넷신문) 공공기관 외국어 남용 사례는 순천에만 있는 것은 아니다. 2022년 수원에서 열린 ‘2022 힐링폴링 수원화성’은 세계적인 문화재인 수원화성을 배경으로 진행되는 4개의 축제를 말한다. 그러나 인터넷을 찾아보니 힐링폴링..

1년 만에 우리말 '해침꾼→지킴이'…서울시에 무슨 일이

'페이지뷰→방문자수' '언택트→비대면' '버스킹→거리공연'. 서울시 민간 심의위원회인 국어바르게쓰기위원회가 순화한 용어들이다. (중략)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는 지난해 지방선거 전후 2개월간 광역자치단체의 보도자료에서 외국어 용어와 외국 글자가 얼마나 사용됐는지 분석했다. 불필요한 외국어 사용 보도자료 비율이 가장 높은 광역자치단체는 부산이 75%로 1위였고 서울이 71.4%로 그 뒤를 이었다. 실제로 '서울뷰티먼스', '비욘드 조닝', '그레이트 선셋', '로컬브랜드' 등 시가 지난해 선보인 정책·사업 용어 중 과도한 영어 사용이 지적된 사례가 있었다. (중략) 이건범 한글문화연대 대표도 "올 5, 6월부터 시 보도자료에서 외국어 남용이 줄었다"며 "문체부와 행안부의 지자체 공문서 평가 작업이 지자체들에..

[한글의 권리] 지자체 보도자료에 무분별한 외국어 남용 '심각'

https://weekly.hankooki.com/news/articleView.html?idxno=7078755 [한글의 권리]지자체 보도자료에 무분별한 외국어 남용 '심각' - 주간한국 [주간한국 장서윤 기자] ‘Beer & Non-Alcohol Beer sharing, 정원테라피 등의 활동을 한다.’, ’Tea Party, 드로잉 체험 등을 할 수 있다.‘지난해 10월 전남 순천시가 배포한 ‘개방정원과 연계한 열린정... weekly.hankooki.com

575돌 한글날 기념, 2021년 우리말 사랑꾼에 한국도로공사와 김정섭 공주시장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는 575돌 한글날을 맞아 올바른 우리말 사용과 공공언어 쉽게 쓰기에 앞장선 2021년 ‘우리말 사랑꾼’으로 한국도로공사와 공주시장 김정섭을 뽑았다. 우리말 환경을 어지럽힌 ‘우리말 해침꾼’으로는 쓸데없이 외국어를 남용한 문화방송 출연진과 제작진을 뽑았다. 한국도로공사(사장 김진숙)는 2020년 5월부터 고속도로 전문용어 표준화 사업을 추진하여 고속도로 건설 현장과 도로 운영 관리에서 사용하던 ‘데나우시, 단도리’ 등의 일본어 잔재, ‘블랙 아이스, 아이시(IC)’ 등의 외국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고, 2021년에는 국토교통부를 통해 전문용어 표준화를 추진하였다. 한국도로공사에서는 위 용어를 포함하여 모두 243개의 용어를 쉬운 우리말로 바꾸어 2020년 한글날에 ‘우리 길 우리..

574돌 한글날, 우리말 사랑꾼, 해침꾼 뽑아

574돌 한글날, 우리말 사랑꾼, 해침꾼 뽑아 사단법인 한글문화연대(대표 이건범)에서는 2020년 우리말 사랑꾼으로 농촌진흥청 대변인 성제훈과 서울대 재활의학과 교수 정선근을, 해침꾼에 문화방송 예능 를 뽑았다. 1) 우리말 사랑꾼 ○ 농촌진흥청 대변인 성제훈 성제훈 님은 농촌진흥청 공무원으로서 공공기관의 우리말 바로쓰기 운동에 앞장서 왔다. 그는 2003년부터 직장 동료에게 우리말을 쓰자는 취지로 우리말 상식을 담은 ‘우리말 편지’를 보내기 시작하여 현재는 수만 명에게 ‘우리말 편지’를 보내고 있다. 또한 여러 공공기관에서 ‘우리말 바로 쓰기’ 강의를 하고, 소속 부서에서 쓰는 경조사 봉투의 한자를 한글로 바꾸어 새기는 활동을 해왔다. 공공기관에 알기 쉬운 우리말 쓰기 문화를 퍼트린 활동을 높이 사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