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효대사 3

남해 용문사(07.20.)

남해 용문사는 신라 문무왕 3년(663)에 원효대사가 세웠다고 전해지는 금산 보광사를 현 위치로 이전한 사찰이다. 대웅은 위대한 성인이라는 뜻으로 석가모니불을 가리키며, 대웅전은 석가모니를 모시는 사찰의 중심 건물을 말한다. 대웅전은 조선 현종 7년(1666)에 일향화상이 세우고 조선 영조 7년(1773)에 중창이 완료된 후 오늘에 이르고 있다.명부전은 죽은 사람의 넋을 인도하여 극락왕생하도록 기원하는 법당이며, 조상의 천도를 위해 기도하는 장소로 이용한다. 모든 인간을 구원할 때까지 부처가 되기를 미루고 중생을 구제했다는 지장보살을 보시고 있기 때문에 지장전 또는 시왕전이라고도 한다.천왕각은 불법을 지키는 사천왕을 모시는 건물이다. 용문사 천왕각은 용문사의 관문 역할을 하므로 천왕문이라고도 한다. 사찰..

법광사터서 통일신라 금당지 기단, 180cm 불상 나와

지난 2021년 3월부터 이달까지 실시한 사적 ‘포항 법광사지’에 대한 추가 발굴조사에서 통일신라 창건기 절에 해당되는 금당(절의 본당)터 기단 구조와 표면에 유리질의 녹색 유약을 바른 벽돌(녹유전) 바닥, 180cm 높이의 불두(불상 머리)없는 불상 등이 확인되었다. ▲ 포항 법광사터 전경 ▲ 법광사터 금당터 전경(직상방) - 왼쪽, 금당터 불상 나발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의 허가를 받아 포항시(시장 이강덕)와 경북문화재단 문화재연구원(원장 전규영)이 시행한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상층 기단에 직사각형 전돌(벽돌)을 쌓은 금당지 기단과 녹색 유약을 바른 벽돌인 녹유전이 깔린 바닥을 확인했는데, 경전에서 극락정토의 땅을 유리 같은 대지로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금당 바닥에 녹유전을 장엄(부처에게 올려 장..

(얼레빗 3779호) ‘소금강산’이라 불리는 명승 <남해 금산>

한국문화편지 3779호 (2018년 03월 22일 발행) ‘소금강산’이라 불리는 명승 &lt;남해 금산&gt;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779]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경남 남해군 상주면에 가면 명승 제39호 &lt;남해 금산(南海 錦山)&gt;이란 절경이 있습니다. &lt;남해 금산)&gt;은 지리산맥이 남쪽으로 뻗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