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 3

뜬쇠 밑에 ‘가열’, 그 밑으로 ‘삐리’

남사당놀이는 1964년, 이란 이름으로 국가무형문화재에 지정되었고, 1988년에는 6종목이 포함되어 로 재지정되었다. 2009년에는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에 올랐으나, 현재는 그 전승이 활발하지 못해 안타깝다고 이야기하였다. 다행스럽게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던 지운하, 남기문 등이 를 설립하였고, 특히 제26회 부평풍물축제에서 6종목 전 과정을 선보였는데 일반 시민들의 반응이 대단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첫 번째 종목인 는 판굿, 그리고 다양한 개인놀음이 일품이다. 특히 남사당패 풍물놀이의 개인놀음은 각 악기의 연주력이 돋보이는 대목으로 지역적 특색이 잘 나타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풍물을 구성하고 있는 면모를 보면 소리가 크고 강렬한 꽹과리(小金)를 비롯하여 징(大金), 장고(..

(얼레빗 4675호) 종묘제례에서 추는 춤 ‘문무’와 ‘무무’

조선 역대 임금과 왕비의 신위를 모신 종묘에서 지내는 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6호로 지정되었으며,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뽑혔고, 2008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올랐습니다. 그 종묘제례에는 제향할 때 여러 사람이 줄을 지어서 추는 춤으로 ‘일무(佾舞)’라는 것이 있습니다. ‘일무’라는 것은 열을 지어서 춤을 춘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 종묘제례악 연주에 맞춰 일무를 추는 모습(국립국악원 제공) 일무는 ‘문무(文舞)’와 ‘무무(武舞)’로 나뉘는데 먼저 ‘문무’는 붉은 홍주의(紅周衣)를 입으며, 왼손에 단소와 같이 구멍을 만들어 소리를 내는 악기 약(籥)을 들고 오른손에는 구멍이 세개 있는, 세로로 부는 악기 적(翟)을 들고 추는데 이 물건은 말과 ..

(얼레빗 4588호) 5월 2일 종묘제례 봉행하고, 종묘제례악 연주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2021년 종묘대제를 오는 5월 2일 종묘에서 봉행한다고 밝혔습니다. 는 조선시대 역대 임금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종묘에서 지내는 제향의식을 말합니다. 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6호며, 우리 문화의 정수로 그 독창성과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인정 받아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뽑혔고, 200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올랐습니다. ▲ 종묘에서 봉행하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6호 그런데 이 종묘제례를 지낼 때 무용과 노래와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데 이를 이라고 합니다. 종묘제례악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로 역시 ‘종묘제례’와 함께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뽑혔고,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도 올랐지요. 를 지낼 때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