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22항 이 조항은 전통적으로 ‘ㅣ’ 모음 순행 동화라고 불리던 현상을 규정하고 있다. 예전의 문법에서는 ‘ㅣ, ㅔ, ㅐ, ㅚ, ㅟ’와 같이 문자의 측면에서 ‘ㅣ’로 끝나는 어간 뒤에 ‘어’로 시작하는 어미가 올 때 ‘어’를 [ㅕ]로 발음하는 현상을 ‘ㅣ’ 모음 순행 동화로 규정했다. ‘어..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10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21항 이 조항은 표준 발음을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표준 발음이 아닌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른 조항과는 차이가 난다. 이 조항에서 언급하는 자음 동화는 자음의 조음 위치가 같아지는 경우이다. 가령 ‘감기[강ː기], 옷감[옥깜]’ 등은 앞 음절의 받침이 뒤에 오는 연구개음의 조..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9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20항 이 조항은 유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한 것이다. ‘ㄹ’과 ‘ㄴ’이 인접하면 ‘ㄴ’이 ‘ㄹ’에 동화되어 ‘ㄹ’로 바뀌게 된다. 이 현상이 동화에 속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현상은 ‘ㄴ’이 ‘ㄹ’에 앞서는 경우와 ‘ㄴ’이 ‘ㄹ’ 뒤에 오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1)은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8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19항 이 조항은 ‘ㄹ’이 특정 자음 뒤에서 ‘ㄴ’으로 바뀌는 현상을 규정하고 있다. 이 현상은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ㄹ’로 시작하는 말이 결합할 때 일어나며 주로 한자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자음과 자음이 결합할 때 일어나기 때문에 자음 동화의 하나로 다루어져 왔지만 그 해석..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7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18항 이 조항은 비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국어에는 ‘ㄱ, ㄷ, ㅂ’ 뒤에 비음인 ‘ㄴ, ㅁ’이 올 때 앞선 자음인 ‘ㄱ, ㄷ, ㅂ’이 뒤에 오는 비음의 조음 방식에 동화되어 동일한 조음 위치의 ‘ㅇ, ㄴ, ㅁ’으로 바뀌는 음운 변동이 있다. 이 변동은 예외 없이 적용되면 서로 다른 단..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6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17항 이 조항은 구개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ㄷ, ㅌ(ㄾ)'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결합할 때 ‘ㄷ, ㅌ’이 [ㅈ, ㅊ]으로 발음된다. 이 현상은 치조음인 ‘ㄷ, ㅌ’이 모음 ‘ㅣ’의 조음 위치에 가까워져 경구개음 ‘ㅈ, ㅊ’으로 바뀐 것이기 때문에 자음..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