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표준 발음법 제7장 음의 첨가 제30항 (1) 이 조항은 사이시옷이 표기된 단어의 발음에 관한 규정이다. 첨가된 자음의 종류에 따라 3개의 하위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하위 조항은 ‘ㄷ’이 첨가된 경우, ‘ㄴ’이 첨가된 경우, ‘ㄴㄴ’이 첨가된 경우로 구분할 수 있다. 1. ‘ㄷ’이 첨가되는 경우로 사이시옷이 [ㄷ]으..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21
제2부 표준 발음법 제6장 경음화 제25항 이 조항은 겹받침 'ㄼ, ㄾ'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때의 경음화는 어간이 'ㄼ, ㄾ'으로 끝나는 용언의 활용형에서만 일어난다. ‘여덟’과 같이 'ㄼ'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는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여덟도, 여덟과’의 경우 ‘[여덜또], [여덜꽈]..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13
제2부 표준 발음법 제6장 경음화 제24항 이 조항은 비음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 어미가 결합할 때 일어나는 경음화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비음 중에서 ‘ㄴ, ㅁ’만 제시된 것은 ‘ㅇ’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이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음화는 용언 어간 뒤에 피동, 사동 접미사가 결합할 때에는 일어나지 않는 것이 표준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12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20항 이 조항은 유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한 것이다. ‘ㄹ’과 ‘ㄴ’이 인접하면 ‘ㄴ’이 ‘ㄹ’에 동화되어 ‘ㄹ’로 바뀌게 된다. 이 현상이 동화에 속한다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이 현상은 ‘ㄴ’이 ‘ㄹ’에 앞서는 경우와 ‘ㄴ’이 ‘ㄹ’ 뒤에 오는 경우로 나눌 수 있다. (1)은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8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2항 (2) 3. ‘ㅎ’ 뒤에 ‘ㄴ’이 결합할 때에는 ‘ㅎ’을 [ㄴ]으로 발음한다. 그래서 ‘ㅎ’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 ‘ㄴ’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면 ‘놓는[논는], 쌓네[싼네]’와 같이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이것을 ‘ㅎ’이 ‘ㄴ’ 앞에서 곧바로 ‘ㄴ’으로 바뀌었다고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7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1항 이 조항은 제10항과 더불어 겹받침이 어말이나 자음 앞과 같은 음절 종성에서 어떻게 발음되는지를 규정하고 있다. 제10항과 반대로 이 조항에서는 겹받침을 이루는 두 개의 자음 중 앞선 자음이 탈락하는 경우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따라 은 음절 종성에서 앞선 ‘ㄹ’이 탈락하게 된..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5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0항 이 조항은 제9항과 동일하게 제8항의 내용을 구체화한 것으로, 종성에 놓인 겹받침의 발음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겹받침이 단어의 끝에 오거나 다른 자음 앞에 오면 홑받침이나 쌍받침과는 달리 겹받침을 이루는 두 자음 중 하나가 탈락하게 된다. 이것은 음절 종성에서 두 개의 자음..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4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8항 이 조항은 국어의 음절 종성에서 실제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이 7개로 제한되어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 현대 국어의 표기법상으로는 일부 쌍자음을 제외한 대부분의 자음을 종성에 표기할 수 있지만 실제로 발음할 수 있는 것은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 자음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2
제3장 소리에 관한 것 제3절 'ㄷ' 소리 받침 제7항 'ㄷ' 소리로 나는 받침이란, 음절 종성에서 [ㄷ]으로 소리나는 'ㄷ, ㅅ, ㅆ, ㅈ, ㅊ, ㅌ, ㅎ' 등을 말한다. 이 받침들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음절 종성에서 [ㄷ]으로 소리가 난다. ① 형태소가 뒤에 오지 않을 때: 밭[받], 빚[빋], 곷[꼳] ② 자음으로 시작하는 형태소 위에 올 때: 밭과[받꽈], 젖..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