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모티콘 5

알고 보니 차별 언어, 어디까지 주의가 필요한가?

의미는 모르지만 익숙하고 편한 관행 출처: 스브스 뉴스 얼마 전, 20대 김 모 씨는 큰 충격을 받았다. 18살 터울 늦둥이 동생이 손바닥을 얼굴에 갖다 대며 전화 받는 시늉을 하는 것이다. 20대 이상이 수화기를 든 모습을 표현하는 것과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10대 초중반까지의 어린 세대는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했고, 유선 전화기를 보지 못한 채 자랐다. 수화기 모양의 이 아이콘(?)이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아이들도 많다. 문화와 관습은 늘 변한다. 다이얼을 돌려 통화하던 시대는 이미 지났고 10대 초중반 정도의 나이 아래로는 손바닥을 펼쳐 전화 받는 시늉을 한다. 그런데도 여전히 통화 아이콘을 수화기 모양으로 표시하는 것을 관행이라 한다. 일단 한번 만들어 사용하면 그것의 연원은 점차 잊히고..

네이버 자회사 라인, 文대통령 비하 이모티콘 판매 '파문'

네이버의 자회사 라인(LINE)이 문재인 대통령을 비하하는 내용의 온라인 콘텐츠를 한국과 일본에서 판매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일본의 혐한 네티즌이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이 콘텐츠는 논란이 불거진 뒤 삭제됐다. 네이버 측은 재발 방지에 만전을 기하겠다는 입장이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프렌즈 우표발행

카카오프렌즈는 2012년 국내 메신저인 카카오톡의 이모티콘 캐릭터로 처음 탄생했습니다. 주변에서 쉽게 만날 수 있는 인물들의 특성을 반영한 카카오프렌즈 친구들은 개성만점의 재치 넘치는 표정과 행동으로 사람들의 공감을 크게 얻고 있습니다. 호기심 많고 장난기 가득한 무지(MUZI)는 토끼 옷을 입은 단무지로, 깜찍하고 귀여운 표정을 가졌습니다. 악어를 닮았지만 정체를 알 수 없는 콘(CON)은 무지를 키워준 따뜻한 성격의 능력자입니다. 매력적인 뒤태와 넘치는 애교를 가진 어피치(APEACH)는 복숭아나무에서 탈출한 장난꾸러기 악동입니다. 갈기 없는 수사자 라이언(RYAN)은 무뚝뚝한 표정을 가졌지만 여리고 섬세한 반전매력의 소유자입니다. 부잣집 도시개이지만 잡종이라는 태생적 열등감이 있는 프로도(FRO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