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 4

(얼레빗 제4949호) 조선시대, 장애인도 정승 반열에 올라

조선시대 장애인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눈과 복지정책은 오늘날보다 훨씬 선진적이었는데 장애가 있어도 능력만 있다면 얼마든지 벼슬을 할 수가 있었지요. 예를 들면 조선이 세워진 뒤 예법과 음악을 정비하고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는 데 큰 공을 세운 허조(許稠, 1369~1439)는 어려서부터 몸집이 작고 어깨와 등이 구부러진 꼽추였습니다. 하지만 허조는 태종이 선위할 때 '이 사람은 내 주춧돌이다.'라며 적극적으로 추천했고 결국 세종은 그를 좌의정에 올렸지요. 허조는 자기관리가 매우 철저했음은 물론 뇌물, 축재, 여색 등 부정부패와는 정말 완전히 담을 쌓은 벼슬아치였습니다. 자타공인 청백리인 맹사성조차 흑역사가 있었을 정도였지만, 허조는 정말 탈탈 털어도 먼지 한 톨 안 나오던 인물이었다. 이런 철저한 청백리 기..

너와 함께한 모든 길이 좋았다 - 박윤영, 채준우

비장애인 남자와 전동 휠체어를 타는 여자 연인이 45일간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스위스, 스페인 등 유렵을 여행한 여행일기다. 비장애인 남자인 준우는 책 끝부분에서 그들의 여행을 "부럽다"고 하지 않고 "대단하다'고 얘기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이런 상황은 '장애인은 하지 못할 것'이라는 전제하에 하는 얘기하며 그 말이 굉장히 싫다고 했다. 생각해보면 세상의 대부분 사람들은 이들 연인의 여행을 보면서 "부럽다"보다는 "대단하다"고 할 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도 "부럽다"라는 말보다는 "대단하다"는 말이 먼저 나올 것 같아 안타깝다. 예전보다는 많이 좋아졌고, 앞으로도 장애인에게 더 좋은 환경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생각은 하지만, 아직도 장애인을 바라보는 보..

알고 보니 차별 언어, 어디까지 주의가 필요한가?

의미는 모르지만 익숙하고 편한 관행 출처: 스브스 뉴스 얼마 전, 20대 김 모 씨는 큰 충격을 받았다. 18살 터울 늦둥이 동생이 손바닥을 얼굴에 갖다 대며 전화 받는 시늉을 하는 것이다. 20대 이상이 수화기를 든 모습을 표현하는 것과 확연히 달라진 모습이다. 10대 초중반까지의 어린 세대는 태어날 때부터 스마트폰을 사용했고, 유선 전화기를 보지 못한 채 자랐다. 수화기 모양의 이 아이콘(?)이 무엇인지조차 모르는 아이들도 많다. 문화와 관습은 늘 변한다. 다이얼을 돌려 통화하던 시대는 이미 지났고 10대 초중반 정도의 나이 아래로는 손바닥을 펼쳐 전화 받는 시늉을 한다. 그런데도 여전히 통화 아이콘을 수화기 모양으로 표시하는 것을 관행이라 한다. 일단 한번 만들어 사용하면 그것의 연원은 점차 잊히고..

(얼레빗 3800호) 오늘은 함께 장애를 극복해야할 ‘장애인의 날’

한국문화편지 3800호 (2018년 04월 20일 발행) 오늘은 함께 장애를 극복해야 할 ‘장애인의 날…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0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제38회 장애인의 날입니다. 1981년 처음으로 장애인의 날 행사가 열렸고, 온나라 곳곳에서 장애인 체육대회와 기념행사를 열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