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5 – 푸접 ‘푸접없다’는 독자적인 그림씨로 인정받지 못해 ‘푸접 없다’와 같이 띄어쓰기를 해야 하지만, ‘-없다’가 뒤에 붙어 있는 그림씨(형용사)도 많다. ‘본데없다’는 ‘보고 배운 것이 없다’ 또는 ‘행동이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데가 있다’는 뜻이다. ‘보아서 배운 범절이나 솜씨 .. 지난 게시판/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2019.11.09
새로 추가된 표준어 목록 - 2014년(13), 2015년(11), 2016년(6), 2017년(5) 국립국어원에서는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하고 편리하게 할 목적으로 ‘추가 표준어’를 사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지금까지 다섯 차례에 걸쳐 추가 표준어가 발표되었으며 그 목록은 [붙임]에서 확인할 수 있다. 2014년 13항목, 2015년 11항목, 2016년 6항목, 2017년 5항목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09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절 모음 제11항 0sGJF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절 모음 제10항B0401 제11항은 제8항~제10항에서 제시한 모음 변화에 속하지 않는 예들을 보인 조항이다. 변화된 발음이 굳어진 경우 그것을 표준으로 삼는다는 원칙은 동일하게 적용된다. ① ‘-구려’와 ‘-구료’는 미묘한 의미 차가 있는 듯도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