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각장애인 6

지상파 드라마의 한글 자막, 어떻게 볼 것인가?

지상파 드라마에 한글 자막이 도입되며 67년 관행이 바뀌었다. 1956년, 한국에서 최초의 드라마 제작을 시작하고 난 뒤 한글 자막이 나온 것은 2023년이 처음이다. 하지만 시청자들의 반응은 엇갈렸다. ▶지상파 드라마의 한글 자막 도입 그동안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가 아닌 지상파 드라마에서는 한글 자막을 찾기 어려웠다. 한국방송공사(KBS), 문화방송(MBC), 에스비에스(SBS)는 청각장애인에게만 따로 자막 서비스를 제공해 왔다. 그런데 에스비에스가 ‘악귀’, ‘법쩐’ 등의 드라마를 재방송할 때 한글 자막을 사용하면서부터 본방송에서도 한글 자막을 도입했다. 처음 본방송에서 한글 자막을 사용한 것은 문화방송 드라마 ‘수사반장 1958’이다. ‘수사반장 1958’은 1971년부터 1989년까지 방..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26, ‘한글20’, 세계 청각장애인에게 말을 주다

전번 이야기에서 세계 시각장애인들은 자국어 점자 대신 ‘한글20’으로 된 문서를 읽고, 소리자판을 써서 자국어 글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을 보였습니다. 곧 ‘한글20’으로 글을 읽고 쓸 수 있게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한글20’이 청각장애인을 위해서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청각장애의 등급 청각장애는 장애 정도에 따라 6가지 등급으로 분류되지만, 이 글에서는 편의상 다음과 같이 3단계로 나누어 이야기하겠습니다. - 가장 심한 경우: 농아인: 태어나면서부터 전연 듣지 못하는 사람입니다. 이런 사람은 어려서부터 듣지 못해 말을 배우지도 못해 농아인(聾啞人)이 됩니다. 헬렌켈러는 이러한 사람이었으나 썰리반 선생의 헌신적이고도 창의적인 교육 덕분으로 말하고 글쓰기에 능해졌으며 심지어는 외국어도 ..

고요의 언어, 수어를 듣다.

수어는 농인의 손 움직임을 포함한 신체적 신호를 이용하여 의사를 전달하는 시각언어다. 2012년, 장애인단체가 ‘한국수화언어법’ 제정을 촉구하기 위해 서울 광화문에 있는 세종대왕상 앞에 모여서 '훈농수어(訓聾手語)'를 읽었다. '농인의 언어인 수어가 한글과 달라 서로 통하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농인들의 답답함이 크고, 자신의 의견을 원활하게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세종인 내가 농인들을 위하여 수어를 만들어 반포한다.' 이러한 운동의 결과, 2016년 2월 3일, ‘한국수화언어법’이 제정되면서 한국수어도 한국어와 동등한 대한민국 법정 공용어로 인정됐다. 수어는 다른 음성 언어와 마찬가지로 자연 언어에 속하므로 음운론, 형태론, 통사론 등이 존재하며 현재도 국립국어원 등에서 많은 연구가 이뤄지고 있..

한국 영화 보는데 한국어 자막을?

전 세계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는 코로나-19 상황 속에서 오티티(OTT, Over The Top),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는 성장을 거듭했다.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는 인터넷으로 영화와 드라마 등 각종 영상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대표적인 업체로는 유튜브, 넷플릭스, 티빙 등이 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영화관에 가기보다 집에서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이용해 영화와 드라마를 감상하는 사람이 많아졌다. 그러면서 한국 작품을 감상할 때도 한국어 자막을 켜는 사람이 늘고 있다. ▲넷플릭스 한국어 자막 ‘그 해 우리는’ 한국 작품을 보면서 굳이 자막을 켜는 것에는 여러 이유가 있다. 대사 하나라도 놓치고 싶지 않다거나, 영화관과 비교해 아쉬운 음향을 보강하기 위해 자막을 켜는 사람도 있다. 이제는 자막을 켜고..

꿈꾸는 구둣방 - 아지오

'소리 없이 세상을 바꾸는 구두 한 켤레의 기적'이라는 부제를 가지고 있는 책 '꿈꾸는 구둣방'은 안 보이는 사장과 안 들리는 직원들이 이끌어 나가는 기업에 관한 이야기이다. 청각장애인의 자립을 설립 이념으로 큰 꿈을 품은 채 시작했지만, 개업 3년 만에 처참을 실패를 맞이하고, 폐업 4년 만에 재기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장애인이 만들어 제품의 품질이 부실하다는 편견을 깨기 위하여 품질로 승부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한 켤레의 구두를 만들기 위해 전국을 누비면서 실측을 하고 발에 꼭 맞을 때까지 수정을 거치는 작업을 하고 있다. 한 번의 실패를 딛고 다시 일어섰고 아직도 모든 작업을 수작업으로 해야 하기에 매출액 대비 이익을 많이 남길 수 없는 불리한 여건이지만 그런 상황에서도 오직 소비자를 위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