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3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7항

'요'는 주로 문장을 종결하는 어미 뒤에 붙어서 청자에게 높임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이다. 가-요 가리-요 가지-요 갈까-요 체언이나 부사어, 연결 어미 등 뒤에 결합하여 청자에게 높임의 뜻을 나타낼 수도 있다. 날씨는요 더 없이 좋아요. 어서요 조금만 드셔 보세요. '참으리요'는 '참으..

(얼레빗 3985) 수염ㆍ송곳니ㆍ비늘의 용머리 붓꽂이

한국문화편지 3985호 (2019년 01월 04일 발행) 수염ㆍ송곳니ㆍ비늘의 용머리 붓꽂이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85][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보물 제1932호 “청자 투각연당초무늬 붓꽂이”가 있습니다. 이 청자는 문방구 가운데 보기 드물게 붓을 꽂아 보관하는 붓꽂이..

(얼레빗 3802호) 모란꽃 무늬가 시원한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한국문화편지 3802호 (2018년 04월 24일 발행) 모란꽃 무늬가 시원한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02]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서울 용산의 국립중앙박물관에 가면 모란꽃 무늬가 상감으로 새겨진 국보 제98호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가 있습니다. 이 항아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