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글 바로쓰기, 국립국어원 누리집으로 알아보는 외래어 표기법! https://blog.naver.com/areumkor/223244187330 국립국어원 누리집으로 알아보는 외래어 표기법! 한국어 문법이 헷갈릴 때 가장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은 바로 한국어의 어문 규정을 참고하... blog.naver.com 우리말을 배우자/쉼표,마침표(국립국어원 온라인소식지) 2023.10.28
[한글 상식] 띄어쓰기: '겸', '및', '내지', '등', '또는' https://youtu.be/FtZBzASYGoM 2020년 5월 24일 정재환의 한글 상식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문화연대 2022.05.05
(얼레빗 4443호) 복수표준어 ‘짜장면-자장면’과 표준어 정책 ‘자장면’이 맞을까요, ‘짜장면’이 맞을까요? 요즘 방송에서는 아나운서나 출연자들이 굳이 ‘자장면’을 고집합니다. 무엇이 맞을까요? 정답은 둘 다 다 ‘맞다’ 입니다. 예전 학생들은 입학식이나 졸업식이 끝나면 으레 중국집으로 향했을 만큼 인기가 있던 음식이지요. 그런데 한동안 ‘자장면’이 표준말이 되었던 까닭은 외래어 표기법 규정에서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다는 조항 때문이었습니다. 이에 더하여 된소리를 피하여야 한다는 학자들의 쓸데없는 고집도 한몫했는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표준어규정에 보면 ‘표준말’이란 “교양이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조사 결과 사람들의 91.8%가 짜장면을 쓰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대다수가 쓰는 ‘짜장면’이 표준말이 되어.. 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2020.10.08
제2부 표준 발음법 제6장 경음화 제23항 이 조항은 ‘ㄱ, ㄷ, ㅂ’과 같이 종성으로 발음되는 파열음 뒤에서의 경음화를 규정하고 있다. ‘ㄱ, ㄷ, ㅂ’으로 끝나는 말 뒤에서는 물론이고 'ㄲ, ㅋ, ㄳ, ㄺ', 'ㅅ, ㅆ, ㅈ, ㅊ, ㅌ', 'ㅍ, ㄼ, ㄿ, ㅄ'과 같이 표면적으로는 ‘ㄱ, ㄷ, ㅂ’으로 끝나지 않아도 종성에서 대표음 [ㄱ, ㄷ, ㅂ]으..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11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2항 이 조항은 국어 자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국어에는 19개의 자음이 있으며 이러한 자음의 개수는 방언에 따른 차이가 거의 없다. 일부 지역에 ‘ㅆ’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면 대체로 동일한 모습을 보인다. 국어의 자음들을 발음되는 위치와 방법에 따라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국어의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4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5항 ① ‘겸(兼)’은 한 가지 일 밖에 또 다른 일을 아울러 함을 뜻하는 한자어로, ‘국장 겸 과장’과 같이 명사 사이에도 쓰이지만 ‘뽕도 따고 임도 볼 겸’처럼 관형어의 꾸밈을 받는 구조로도 사용되므로 의존 명사로 다루어지고 있다. 아침 겸 점심 강당 겸 체육관 장관 겸 부총리 ‘겸..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8.17
일러두기 1. '국립국어원 해설'은 2017년 개정된 '한글 맞춤법(문체부 고시 제2017-12호)'과 '표준어 규정(문체부 고시 제2017-13호)'을 대상으로 한다. 2. 규정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 이해에 도움이 될 만한 사항이나 해석에 이견이 있는 내용은 '더 알아보기'로 보충 설명을 하였다. 3. 표기와 발음을 분명..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