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6-8항 제6항 자연 지물명, 문화재명, 인공 축조물명은 붙임표(-) 없이 붙여 쓴다. (보기) 남산 Namsan 속리산 Songnisan 금강 Geumgang 독도 Dokdo 경복궁 Gyeongbokgung 무량수전 Muryangsujeon 연화교 Yeonhwagyo 극락전 Geungnakjeon 안압지 Anapji 남한산성 Namhansanseong 화랑대 Hwarangdae 불국사 Bulguksa 현충사 Hyeonchungsa 독립.. 우리말을 배우자/국어의로마자표기법 2019.11.27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2-5항 제2항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 (보기) 중앙 Jung-ang 반구대 Ban-gudae 세운 Se-un 해운대 Hae-undae 제3항 고유 명사는 첫 글자를 대문자로 적는다. (보기) 부산 Busan 세종 Sejong 제4항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 우리말을 배우자/국어의로마자표기법 2019.11.26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제3장 표기상의 유의점 제1항 제1항 음운 변화가 일어날 때에는 변화의 결과에 따라 다음 각호와 같이 적는다. 1. 자음 사이에서 동화 작용이 일어나는 경우 (보기) 백마[뱅마] Baengma 신문로[신문노] Sinmunno 종로[종노] Jongno 왕십리[왕심니] Wangsimni 별내[별래] Byeollae 신라[실라] Silla 2. ‘ㄴ, ㄹ’이 덧나는 경우 (보기) 학.. 우리말을 배우자/국어의로마자표기법 2019.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