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제어 9

사전 두 배로 즐기기 - “한국어기초사전” 120 퍼센트 활용하기

지난 호에서 살폈듯이 “한국어기초사전(이하 기초사전)”은 한국어 학습사전으로서, 일반 사전에서 제공하지 않는 기능과 내용이 담겨 있다. 이번 호에는 “기초사전”의 활용법과 특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기초사전”은 여러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여느 사전과 마찬가지로 “기초사전”에서도 찾고자 하는 어휘를 직접 검색하여 어휘의 뜻을 찾아볼 수 있지만 이 밖에도 한국어 교수·학습에 필요한 여러 검색 기능을 제공하여 한국어 교원과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먼저 주제, 상황, 의미 범주별로 어휘를 찾을 수 있다. ‘주제 및 상황 범주별 찾기’는 한국어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초급(38개), 중급(36개), 고급(31개) 범주로 나눈 다양한 주제 및 상황 범주에 맞는 어휘를 학습자 ..

사전 두 배로 즐기기 - “표준국어대사전”, 아는 만큼 보여요! - 두 번째 이야기

지난 호에 이어 “표준국대사전”에 실려 있는 정보를 항목별로 살펴보고 이에 담긴 의미가 무엇인지 알아보겠다. 이번 호에서는 품사 및 전문어 영역의 의미부터 살펴보겠다. 표제어, 원어, 발음 정보, 활용 정보, 품사, 전문어 영역, 문형 정보, 문법 정보, 뜻풀이, 용례, 부가 정보, 관련 어휘, 참고 어휘, 최초 출현형, 다중 매체 자료, 관용구, 속담 (4) 품사와 전문어 영역 우리말의 품사는 보통 9가지로 나누는데, 이에 대한 정보도 사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한 단어가 2가지 이상의 품사로 쓰일 때에는 다음과 같이 모두 보여 주기도 한다. 전문어 영역은 보통 품사 다음에 제시된다. “표준국어대사전”은 전문어를 모두 67개 영역으로 세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품사처럼 해당 단어가 2개 이상의 영역에서 ..

사전 두 배로 즐기기 - “표준국어대사전”, 아는 만큼 보여요!

“사전”이라고 하면 흔히 모르는 단어의 뜻을 알고 싶을 때 찾아보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단어의 의미를 정확하고 쉽게 풀이해 주는 것은 사전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그러나 사전에 ‘단어 뜻’만 있는 것은 아니다. 사전에는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많고 다양한 정보가 들어 있다. “표준국어대사전”도 그러하다. “표준국어대사전”은 1999년 책자로 처음 발간되었는데, 당시 국어학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많은 논의 끝에 사전에 담을 정보를 결정하였고, 그러한 만큼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발간 당시의 국어학 논의의 결과물들이 많이 담겨 있다. 또한 국가에서 발간하는 사전인 만큼 언어생활의 지침이 되는 어문 규범과 관련한 사항도 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사전이 담고 있는 원어나 뜻풀이, 용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