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국학진흥원 3

어제 한글, 오늘 디ᄌᆞ인과 ᄉᆞ맛ᄃᆞ 전시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10월 8일(토) ~ 10월 9일(일)까지 경북도청 동락관에서 제1회 한글 활용 디자인 공모전 수상작과 본심작을 전시하는 를 연다. 이 전시에는 한글이 지닌 산업 자원으로서 값어치 가운데 ‘디자인적 값어치’를 조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던 ‘제1회 한글 활용 디자인 공모전’의 수상작과 본심작을 선보인다. 이번 공모전은 완제품 부문과 아이디어 부문으로 나눠 열렸다. 아이디어 부문은 시제품 제작이 어려운 대학생과 대학원생을 배려해 제품 이미지만으로 출품할 수 있게 했다. 처음 여는 공모전이었으나, 110여 점이 넘는 작품이 출품되어 열띤 경쟁을 벌였다. 한국국학진흥원은 실제 제품 출시가 가능하도록 지속적으로 생산업체와 제작자 사이에서 징검다리 역할을 할 계획이다. 이번 전시 역시 경..

(얼레빗 4351호) 혼천요의(渾天要儀), 고려시대 천문도일까?

고려는 일월식을 비롯하여 여러 가지 천문과 기상 현상을 관측한 기록을 대단히 많이 후세에 남기고 있다고 합니다. 그도 그럴 것이 고려 475년 동안 일식과 월식이 각각 135건과 226건에 이르고, 심지어 맨눈으로 해의 흑점(黑點)을 관측했다는 사실을 비롯하여 해성과 유성(별똥별)이 출현했다는 기록 또한, 많은 양에 이른다고 하지요. 그런데 아쉽게도 조선시대의 천문도는 여럿 알려져 있으나 그 이전 시기의 천문도는 별로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안동 권씨 수곡종택(樹谷宗宅) 소장품으로 현재 한국국학진흥원에 위탁 수장되고 있는 ‘혼천요의(渾天要儀)’는 여러 면에서 고려시대의 진귀한 천문도일 것이라고 합니다. 그것은 한국 천문학계의 독보적인 존재인 과학문화진흥원 나일성 이사장이 그의 책 《과학고서해제집》에..

(얼레빗 4309호) 억압받는 여성들의 삶, ‘내방가사’로

<내방가사(內房歌辭)> 곧 <규방가사(閨房歌辭)>는 조선 중기 이후 주로 영남지방의 양반집 여성들에 의해 창작되고 향유된, 세계적으로 유래를 찾기 힘든 여성들의 집단문학입니다. 초기에는 여성에게 유교적 가치관을 전파하기 위한 목적에서 시작되었지만, 이후 다양한 소재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