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량무 3

절제미와 정중동이 아름다운 우리 춤

국악에는 궁중과 양반이 즐기던 정악(正樂)과 백성이 즐기던 민속악(民俗樂)이 있지요. 다시 말하면 양반은 절제된 음악(정악)을 몸과 마음을 닦는 수단으로 썼고, 백성은 민속악을 삶의 한(恨)을 풀어내는 도구로 즐겼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구분법은 바로 전통춤에도 적용됩니다. 궁중무용과 민속무용이지요. 말 그대로 궁중무용은 궁궐에서 추던 춤이고, 민속무용은 궁궐이 아닌 민가에서 즐긴 것입니다. 예를 들면 검무, 처용무, 포구락, 수연장, 봉래의, 학무 같은 것은 궁중무용이고, 민속무용에는 승무, 살풀이, 한량무, 강강술래, 탈춤 따위가 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민속무용이라 하더라도 탈춤 같은 몇 가지를 빼면 대부분 춤이 궁중무용의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나라의 평안과 태평성대를 기리는 뜻을 담은 엄..

(얼레빗 3953호) 한량과 승려가 한 여성을 유혹하는 춤, 한량무

한국문화편지 3953호 (2018년 11월 21일 발행) 한량과 승려가 한 여성을 유혹하는 춤, 한량무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5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진주(晋州)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조선 시대 기녀들을 중심으로 하여 가무-歌舞를 관장하던 기관)계통의 무용극에 경상남도 시도무..

부패한 양반과 파계승을 풍자한 무용극 한량무

진주(晋州) 지방에 전해 내려오고 있는 교방 계통의 무용극 경상남도 무형문화재 제3호 한량무(閑良舞)를 보셨나요? “한량”이란 양반 출신으로 무과(武科)에 급제하지 못한 사람, 또는 노상 놀고먹는 사람을 이르는데 한량무는 한량과 승려가 한 여인을 유혹하는 내용을 춤으로 표현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