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표준 발음법 제6장 경음화 제25항 이 조항은 겹받침 'ㄼ, ㄾ' 뒤에서 일어나는 경음화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이때의 경음화는 어간이 'ㄼ, ㄾ'으로 끝나는 용언의 활용형에서만 일어난다. ‘여덟’과 같이 'ㄼ'으로 끝나는 체언 뒤에서는 경음화가 일어나지 않는다. 그래서 ‘여덟도, 여덟과’의 경우 ‘[여덜또], [여덜꽈]..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13
제2부 표준 발음법 제5장 음의 동화 제17항 이 조항은 구개음화 현상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ㄷ, ㅌ(ㄾ)'으로 끝나는 말 뒤에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결합할 때 ‘ㄷ, ㅌ’이 [ㅈ, ㅊ]으로 발음된다. 이 현상은 치조음인 ‘ㄷ, ㅌ’이 모음 ‘ㅣ’의 조음 위치에 가까워져 경구개음 ‘ㅈ, ㅊ’으로 바뀐 것이기 때문에 자음..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3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6항 이 조항은 자음 글자를 나타내는 명칭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결합할 때의 발음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받침을 가진 말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오면 연음이 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러므로 ‘지읒이, 치읓이, 피읖이’ 등은 각각 ‘[지으지], [치으치], [피으..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1.01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5항 이 조항은 받침을 가진 말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실질 형태소가 올 때 해당 받침을 어떻게 발음해야 하는지를 규정하고 있다. 제13항, 제14항과 비교할 때, 받침을 가진 말 뒤에 오는 형태소가 형식 형태소가 아닌 실질 형태소라는 차이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차이로 받침의 발음 양상..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31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4항 이 조항은 제13항과 더불어 받침의 연음에 대해 규정하고 있다. 제13항이 홑받침 또는 쌍받침과 같은 단일한 자음으로 된 받침의 연음에 대해 다루었다면 이 조항은 두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겹받침의 연음에 대해 다루었다. 겹받침을 가진 말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조사,..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9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3항 이 조항은 홑받침이나 쌍받침과 같이 하나의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조사, 어미, 접미사)가 결합할 때 받침을 어떻게 발음할 것인지를 규정하고 있다. 이런 경우 받침을 그대로 옮겨 뒤 음절 초성으로 발음하는 것이 국어의 원칙이며, 이것을 흔히 연음..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8
제2부 표준 발음법 제4장 받침의 발음 제12항 (2) 3. ‘ㅎ’ 뒤에 ‘ㄴ’이 결합할 때에는 ‘ㅎ’을 [ㄴ]으로 발음한다. 그래서 ‘ㅎ’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 뒤에 ‘ㄴ’으로 시작하는 어미가 결합하면 ‘놓는[논는], 쌓네[싼네]’와 같이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런데 이것을 ‘ㅎ’이 ‘ㄴ’ 앞에서 곧바로 ‘ㄴ’으로 바뀌었다고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27
제2부 표준 발음법 제1장 총칙 제1항 이 조항은 표준 발음법의 기본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 따르면 가장 중요한 원칙은 표준어로 규정된 단어들의 실제적인 발음을 따르는 것이며, 이때 국어의 전통성과 합리성을 함께 고려하도록 되어 있다. 우선 표준어의 실제 발음을 따른다는 것은 말 그대로 현대 서울말의 현실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3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5항 (1) 체언에 조사가 결합할 때와 마찬가지로 실질 형태소인 어간과 형식 형태소인 어미의 형태를 고정해서 일관되게 적는다. 예를 들어 어간 형태소 '읽-'에 다양한 어미가 결합한 형태를 소리 나는 대로 적으면 다음과 같다. 일꼬 익찌 잉는 일그니 그런데 이렇게 적으면 형태소의 형태가 여..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8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1절 체언과 조사 제14항 한글 맞춤법 제1항의 소리대로 적되 어법에 맞도록 한다는 원칙 가운데 '어법'에 해당하는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실질 형태소인 체언과 형식 형태소인 조사를 분리하여 적음으로써 체언과 조사의 형태를 고정한다. 예를 들어 '값[價]'에 다양한 조사가 결합한 형태를 소리 나는 대로 적으.. 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2019.06.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