혜경궁 홍씨 5

(얼레빗 제4943호) 일제에 의해 파괴된 '화성행궁' 완전히 복원

지난 4월 23일 일제강점기에 철거됐던 수원 화성행궁이 119년 만에 완전한 모습으로 복원됐다는 소식이 들렸습니다. 정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화성 융릉으로 이장하고, 1789년(정조 13년) 화성행궁을 건립했는데 평상시에는 관청으로 쓰다가 임금이 수원에 행차할 때는 임금과 수행 관원들이 머무는 궁실(宮室)로 이용했습니다. 수원화성 축조 과정이 기록된 《화성성역의궤》에 따르면 화성행궁은 약 600칸 규모로 정궁(正宮) 형태인데 조선시대 지방에 건립된 행궁 가운데 가장 큰 규모입니다. ▲ 복원된 화성행궁 ‘우화관’ 정조는 사도세자의 묘소를 현륭원으로 옮긴 1789년부터 모두 13차례 화성행궁에 머물렀고, 1795년에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회갑 잔치를 행궁에서 거행했습니다. 그렇게 19세기 말까지..

일제가 파괴했던 화성행궁, 119년 만에 완전한 모습

일제강점기에 철거됐던 수원 화성행궁이 119년 만에 완전한 모습으로 복원됐다. 화성행궁 우화관ㆍ별주 복원사업이 끝나면서 1989년 시작된 화성행궁 복원사업이 35년 만에 마무리됐다. 정조대왕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묘소를 수원부 읍치 자리(화성시 융릉)로 이장하고, 신읍치를 팔달산 기슭으로 옮기면서 1789년(정조 13년) 화성행궁을 건립했다. 평상시에는 관청으로 쓰다가 임금이 수원에 행차할 때는 임금과 수행 관원들이 머무는 궁실(宮室)로 이용했다. 화성행궁은 정조가 만들고자 했던 신도시 수원화성의 행정을 도맡았던 관청이자 화성유수부를 굳건하게 지킨 장용영 군사들의 군영이었다. 수원화성 축조 과정이 기록된 《화성성역의궤》에 따르면 화성행궁은 약 600칸 규모로 정궁(正宮) 형태다. 정조가 훗날 왕위를 물려주..

혜경궁 홍씨의 눈부신 처세 속 칠십 년 궁중생활

어머니께서는 젊어서부터 한 번 보거나 들으신 것은 종신토록 잊지 않으셨으니, 궁중의 옛일부터 국가 제도, 다른 집 족보에 이르기까지 기억하지 못한 바가 없으셨다. 내가 혹시 의심스러운 바가 있어서 질문하면 하나하나 지적해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으셨으니, 그 총명과 박식은 내가 감히 따라갈 수 없다. 「혜경궁지문」, 《순조실록》, 1816년 1월 21일 / 20쪽 혜경궁 홍씨. 정조의 어머니이자 순조의 할머니인 그녀는 죽은 다음 ‘헌경(獻敬)’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총명하다고 해서 ‘헌’, 늘 조심스러웠다고 해서 ‘경’이라는 글자를 썼다. 칠십 년 가까이 계속된 그녀의 궁중생활은 살얼음판을 걷는 것과 같았다. 이런 살얼음판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지혜로워지고, 조심스러워지는 수밖에 없었다. 열 살에 입궁한 ..

꽃에 담은 마음

1908년 5월 10일, 한 여성이 교회 모임에 온 어머니 오백 명에게 흰 카네이션을 선물했다. 그녀의 이름은 애너 자비스. 그녀의 어머니 '자비스 부인'은 생전에 어머니를 기념하는 날을 만들자고 주장했다. 당시 미국은 남북전쟁이 끝났음에도 갈등이 만연했다. 자비스 부인은 어머니를 기념하는 날이 분열된 사람들을 이어 주리라 믿었다. 자비스 부인이 세상을 떠나자, 그녀는 어머니의 뜻을 따라 '어머니날'을 만들고자 했다. 어머니날의 상징으로 흰 카네이션을 고른 이유는 어머니가 좋아한 꽃이기 때문이다. 그녀는 말했다. "꽃의 색깔은 진리와 순수, 넓고 따뜻한 어머니의 사랑을, 향기는 어머니의 기억과 기도를 상징한다. 꽃잎을 떨어뜨리지 않고 껴안은 채 시드는 카네이션처럼 어머니도 아이를 품에 끌어안는다." 카네..

(얼레빗 4141호) 비문명국가여서 개고기 먹는 것 아니다

한국문화편지 4140호 (2019년 08월 12일 발행) 비문명국가여서 개고기 먹는 것 아니다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41][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어제는 무더위의 막바지를 뜻하는 말복(末伏)이었습니다. 복날 우리 겨레는 예부터 개고기를 즐겨 먹었습니다. 그 근거로 먼저 조선 순조 때의 학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