희귀식물 3

멸종위기야생식물 ‘자주땅귀개’ 2년 만에 꽃펴

국립공원공단 경주국립공원사무소(소장 김창길)는 “멸종위기야생생물 Ⅱ급 식물인 자주땅귀개가 경주국립공원 남산지구 일원 습지에 2년 만에 꽃 피었다.”라고 밝혔다. 지난해 극심한 가뭄으로 습지의 수분공급이 부족해지면서 자주땅귀개를 관찰하기 어려웠는데, 올해 경주지역은 지난해에 견줘 같은 기간 동안 강수일수는 20일 이상, 강수량은 370mm 더 많았던 날씨로 인해 자주땅귀개의 생육조건이 양호해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 자주땅귀개(파란색), 땅귀개(노란색), 이삭귀개(분홍색)_2023. 10. 30. 찍음 ▲ 자주땅귀개 자주땅귀개(Utricularia yakusimensis)는 현삼목 통발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산지 습지에 드물게 분포하며 땅속줄기에 포충낭이 달려 있어 작은 곤충을 잡아먹는 식충식물이다. 자..

무등산 봄 알리는 털조장나무 꽃 피기 시작

국립공원공단 무등산국립공원동부사무소(소장 김효진)는 무등산 깃대종인 털조장나무가 3월 17일 함충재 일원에서 첫 꽃망울을 터뜨리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털조장나무는 세계적으로 일본과 한국에만 분포하는 동북아시의 희귀식물로서 2013년 12월 국민 의견을 수렴하여 수달(동물)과 함께 무등산국립공원의 깃대종으로 꼽았다. ▲ 꽃 핀 사진(근경) ▲ 꽃 핀 사진(원경) ▶ 깃대종(Flagship Species)은 1993년 유엔환경계획(UNEP)이 제시한 개념으로, 지역의 생태ㆍ지리ㆍ문화적 특성을 반영하는 상징적인 야생생물로서 사람들이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종 털조장나무는 무등산, 조계산, 강천산 일대에서 제한적으로 분포하며 테르펜이라는 방향성 물질을 발산하여 자율신경을 자극해 몸과 마음을 안정시켜 치유의 나무로 ..

약용식물 기념우표

지리적으로 온대지역에 위치한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여 식물 자원이 매우 풍부합니다.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많은 식물을 식용 및 약용해 왔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전통 한의학이 발전할 수 있었습니다. 우정사업본부에서는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약용 식물 4종을 주제로 기념우표를 발행합니다. ‘삼지구엽초’는 매자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경기도와 강원도의 계곡이나 산자락에서 드물게 자라는 희귀식물입니다. ‘삼지구엽초(三枝九葉草)’라는 이름처럼 3개로 갈라진 줄기에 각 3장씩 총 9장의 잎이 달린 야생화로 높이는 30~40cm까지 자랍니다. 잎자루가 긴 겹잎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4~5월경이 되면 가지 끝에 황백색 꽃망울이 움트기 시작하여 아래쪽을 향해 꽃을 피웁니다. 줄기와 잎을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쓰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