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룩은 술을 만드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재료로 우리나라에서는 삼국시대 이전부터 누룩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특히 일본의 《고사기(古事記)》에는 오진왕(應神天皇:재위 270~312) 때 백제에서 인번(仁番) 수수보리(須須保利)라는 사람이 와서 누룩으로 술 빚는 법을 알려주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누룩은 예전에 사고팔기도 했는데 《중종실록》 1541년(중종 36) 11월 13일 기록에 보면 ‘누룩 매매 금지’ 기록이 보입니다.
“금주령(禁酒令)이 엄한 듯 하지만 백성의 집에서는 여전히 술을 빚고 있으니 아무리 생각해 보아도 빚지 못하게 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도성의 각 시장에는 누룩을 파는 곳이 7∼8곳이 있는데 그곳에서 하루에 거래되는 것이 7∼8백 문(門)이 되며 그것으로 술을 빚는 쌀은 천여 석에 이를 것이니, 그 낭비가 참으로 걱정됩니다. (가운데 줄임) 평시서(平市署)에 명하여 명년 가을까지만 누룩의 팔고 사는 것을 일체 금하도록 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술의 주원료인 누룩을 만들기 위해서는 누룩고리가 필요합니다. 누룩틀이라고도 하는데 밀을 굵게 갈아 반죽하여서 덩이를 굳히는 데 쓰는 틀로 백성의 집에서는 짚이나 나무로 된 것을 주로 썼으며, 궁궐·절·부잣집의 누룩고리는 고급나무 또는 대리석을 갈아 만들거나 석물과 쇠를 녹여 만든 주물 형태의 것도 있습니다. 누룩고리는 둥근 모양, 타원 모양, 네모 모양 따위가 있는데 나무로 만든 것은 쓰지 않을 때 새끼를 꿰어 벽에 걸어 두었지요. 이제는 누룩고리도 민속박물관에나 가야 볼 수 있는 귀중한 공예품이 되었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뛰어난 한지가 있어 더욱 빛나는 훈민정음 해례본 (0) | 2015.10.30 |
---|---|
조선을 사랑하다 조선땅에 묻힌 아사카와 타쿠미 (0) | 2015.10.29 |
실학자 홍대용, 중국 선비들과 의형제 맺다 (0) | 2015.10.29 |
깎아지른 절벽 틈새에서 잘 자라는 “둥근잎꿩의비름” (0) | 2015.10.29 |
노란빛으로 가을을 수놓는 선괴불주머니 (0) | 2015.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