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게시판/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012 - 토렴

튼씩이 2019. 3. 2. 14:39

토렴은 우리나라의 전통 요리 방식으로, 몽골에 전해져서는 '징기스칸' 요리로, 일본에 전해져서는 '샤부샤부'로 발전했다고 한다. 대표적인 가루붙이 음식인 국수는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 세 가지로 나뉜다. 칼로 썰어 만드는 칼국수, 반죽을 틀에 넣어 뺀 틀국수, 손으로 만든 손국수가 그것이다. 수타(手打) 짜장면에 쓰이는 국수가 손국수인 것이다. 또 굵기에 따라서는 굵게 뽑은 가락국수와 가늘게 뽑은 실국수가 있다. 우동은 일본말이니까 앞으로는 가락국수라고 하자.


떡국에 밥을 넣어 끓인 것을 원밥수기, 원밥수기에 국수를 넣은 음식을 국수원밥숭이라고 한다. 국수를 넣은 그 짧은 동안에 원밥수기가 슬그미 원밥숭이로 바뀌고 만 것이다. 국에 만 국수는 국말이라고 하고, 국수의 가락은 국숫발이나 국수오리라고 한다. 국수사리는 국수를 사려 감은 뭉치를 말한다. 이상한 일이지만 오리가 모여서 사리가 되는 것이다.


접시를 뜻하는 일본말 사라 때문에 사리도 일본말인 줄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뜻밖에 많다. 사라는 일본말, 사리는 우리말이다. 국수의 위에 얹는 돼지고기나 소고기, 달걀 같은 고명은 국수꾸미라고 한다.


무엇을 두 번 거듭하는 것이나 음식의 두 몫을 한 그릇에 담은 분량을 곱빼기라고 하는데, 왜 곱빼기가 중국집, 중국집에서도 짜장면과 짬뽕 같은 것에만 따라다니는 말이 됐는지 궁금하다. 중국집에서도 볶음밥 곱빼기, 탕수육 곱빼기 하는 말은 들어본 적이 없고, 냉면 같은 것도 사리 추가는 있지만 곱빼기는 없다. 이상한 일이다. 하기는 짜장면 곱빼기나 짬뽕 곱빼기도 진정한 의미에서의 곱빼기라고 할 수는 없지만 말이다. 곱빼기와는 달리 양보다는 맛을 위주로 만든 음식은 맛배기라고 한다. 맛보기는 마음이 당기는 대로 먹게 하기 위해 양을 적게 하고 바특하게 차린 음식을 말한다.


토렴 (명) 밥이나 국수에 뜨거운 국물을 부었다 따랐다 하여 덥게 함.


쓰임의 예 - 자기 남편과 나의 국 대접에 더운 국물을 토렴하여 주고…. (염상섭의 소설 <밥>에서)

                  토렴으로 해장국을 담아낼 때 흘러내린 육수에 무쇠솥이 닳아버린 것이 또한 깊은 역사를 증명한다. (파란 블로그에서 발견한 <마음속 숙취마저 풀어드리다-청진옥>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이 말만은 꼭 갈무리하자


원밥수기 - 떡국에 밥을 넣어 끓인 음식.



'지난 게시판 > 우리말은 재미있다(장승욱)' 카테고리의 다른 글

014 - 고수레  (0) 2019.03.09
013 - 짜장  (0) 2019.03.03
011 - 백설기  (0) 2019.03.01
010 - 부꾸미  (0) 2019.02.24
009 - 풀떼기  (0) 2019.0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