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2절 어간과 어미 제18항 (3)

튼씩이 2019. 7. 4. 07:57





  3. 형용사의 어간 끝 받침 'ㅎ'이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나타나지 않으면 나타나지 않는 대로 적는다. 이에 따라 '노랗-'에 '-아'가 결합하면 '노래'와 같이 활용하고, '누렇-'에 '-어'가 결합하면 '누레'와 같이 활용한다. 또한 어간 끝 받침이 'ㅎ'인 형용사 어간에 '-네'가 결합하면 '노라네'와 '노랗네'로 활용한다.


     노랗다          노랗- + -은 → 노란

                        노랗- + -으니 → 노라니

                        노랗- + -아 → 노래

                        노랗- + -아지다 → 노래지다

                        노랗- + -네 → 노라네/노랗네


     누렇다          누렇- + -은 → 누런

                        누렇- + -으니→ 누러니

                        누렇- + -어 → 누레

                        누렇- + -어지다 → 누레지다

                        누렇- + -네 → 누러네/누렇네


그런데 '노랗다, 누렇다'와 '그렇다, 이렇다, 저렇다'는 어미 '-아/-어'와 결합할 때 차이가 있다. '노랗다, 누렇다'는 어간 끝음절 모음에 따라 '노래, 누레'로 활용하지만 '그렇다, 이렇다, 저렇다'는 '그래, 이래, 저래'로 일관되게 활용한다.


     그렇다          그렇- + -어 → 그래

                        그렇- + 어지다 → 그래지다


     저렇다           저렇- + -어 → 저래

                         저렇- + -어지다 → 저래지다


다만, 어간 끝 받침이 'ㅎ'인 형용사 중 '좋다'는 활용할 때 'ㅎ'이 탈락하지 않으므로 이 조항에 해당하지 않는다.


     좋다              좋- + -네 → 좋네

                         좋- + -은 → 좋은

                         좋- + -으니 → 좋으니

                         좋- + -아 → 좋아

                         좋- + -아지다 → 좋아지다


  4. 어간이 모음 'ㅜ'로 끝나는 동사 '푸다'와 어간이 모음 'ㅡ'로 끝나는 일부 용언은, 뒤에 어미 '-아/-어'가 결합하면 'ㅜ, ㅡ'가 나타나지 않는다.


     푸다             푸- + -어 → 퍼

                        푸- + -어서 → 퍼서

                        푸- + -었다 → 펐다


     아프다          아프- + -아 → 아파

                        아프- + -아도 → 아파도

                        아프- + -았다 → 아팠다


'ㅜ'가 나타나지 않는 단어는 '푸다' 하나이며 'ㅡ'가 나타나지 않는 단어로는 '가쁘다, 고프다, 기쁘다, 끄다, 나쁘다, 담그다, 따르다, 뜨다, 미쁘다, 바쁘다, 슬프다, 아프다, 예쁘다, 잠그다, 치르다, 크다, 트다' 등이 있다. 'ㅡ'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ㄹ' 탈락과 마찬가지로 일정한 환경에서 예외 없이 'ㅡ'가 탈락한다는 점에서 다른 불규칙 활용과 차이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