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제5장 띄어쓰기 제2절 의존명사,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및 열거하는 말 등 제43항

튼씩이 2019. 8. 15. 16:27



단위를 나타내는 말은 의존 명사이든 자립 명사이든 하나의 단어로 인정되는 명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써야 한다.

 

  ① 의존 명사

 

     나무 한 그루                고기 두 근                  자동차 네 대

     금 서 돈                      토끼 두 마리               논 두 마지기

     쌀 서 말                      물 한 모금                  밥 두어 술

     종이 석 장                   집 세 채                     배 열세 척

     밤 한 톨                      김 네 톳                     전화 한 통

 

  ② 자립 명사

     국수 한 그릇                 맥주 세 병                  학생 한 사람

     꽃 한 송이                    흙 한 줌                     풀 한 포기

 

다만, 수 관형사 뒤에 단위 명사가 붙어서 차례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앞말과 붙여 쓸 수 있도록 하였다.

 

     제일 편(원칙) / 제일편(허용)                              제삼 장(원칙) / 제삼장(허용)

     제7 (원칙) / 7(허용)                                  10 (원칙) / 10(허용)

 

위의 예에서 -’가 생략된 경우라도 차례를 나타내는 말일 때에는 앞말과 붙여 쓸 수 있다.

 

     ()이십칠 대(원칙) / 이십칠대(허용)                   ()오십팔 회(원칙) / 오십팔회(허용)

     ()육십칠 번(원칙) / 육십칠번(허용)                   ()구십삼 차(원칙) / 구십삼차(허용)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앞말과 붙여 쓸 수 있다.

 

     ()구 사단(원칙) / 구사단(허용)                           ()1 연구실(원칙) / 1연구실(허용)

     ()칠 연대(원칙) / 칠연대(허용)                           ()삼 층(원칙) / 삼층(허용)

     ()16 (원칙) / 16(허용)                                  ()274 번지(원칙) / 274번지(허용)

 

또 연월일, 시각 등도 붙여 쓸 수 있는데, 이들은 -’가 붙지는 않지만 차례나 순서 개념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이천십팔 년 오 월 이십 일(원칙) / 이천십팔년 오월 이십일(허용)

     여덟 시 오십구 분(원칙) / 여덟시 오십구분(허용)

 

또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가 아라비아 숫자 뒤에 붙을 때에도 붙여 쓸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의 명사는 자립 명사든 의존 명사든 상관이 없다. 이것은 붙여 쓰는 것이 가독성이 높아서 실제로 붙여 쓰는 경우가 더 많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2 시간(원칙) / 2시간(허용)                            2 음절(원칙) / 2음절(허용)

     20 (원칙) / 20(허용)                               30 킬로미터(원칙) / 30킬로미터(허용)

     10 (원칙) / 10(허용)                               2 학년(원칙) / 2학년(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