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보훈부(장관 강정애)는 사이토 총독 저격 사건 100돌을 맞아 압록강 상류에서 국경을 시찰하던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를 저격하는 등 지속해서 항일무장투쟁을 펼친 채찬(1962년 독립장), 김창균(1995년 독립장), 장창헌(1995년 애국장), 이춘화(1995년 애국장) 선생을 ‘2024년 5월의 독립운동가’로 꼽았다고 밝혔다.
항일무장투쟁은 한말 의병항쟁에서 시작되었으며, 일제의 탄압이 갈수록 심해지자, 의병들은 일제의 추적을 피해 만주 각지와 연해주 등지로 피신하여 독립군으로 활동하였다. 이들은 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독립군을 양성하여 무장투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한다는 목표 아래 서북간도를 중심으로 독립군 기지를 건설하였다.
대한민국임시정부 직할부대(1924년 설립)인 참의부 독립군들은 사이토 총독 저격뿐만 아니라 남만주 일대의 항일운동에서 큰 역할을 했다. 수많은 무장투쟁을 통해 적에게 큰 피해를 주었으며, 국경을 넘어 일제의 주요 기관을 파괴하고 밀정을 처단하는 등 치열한 독립투쟁을 수행하였다.
충청북도 충주 출생(연도 모름)인 채찬 선생은 일찍부터 의병투쟁을 하다 만주로 이동하여 신흥무관학교를 수료하였다. 이후 서로군정서, 통의부 등에서 적극적인 무장투쟁을 펼치는 한편, 독립신문에 자금을 지원하여 독립 정신을 드높이도록 노력하였다.
평안북도 창성 출생(1899년)인 김창균 선생은 의병장들이 주도하여 결성한 대한독립단에 가입하여 일제와 교전을 벌이고 밀정 처단에 앞장섰다. 1922년에는 서간도 지역 독립운동단체를 통합하여 결성(1922년)한 통의부에 참여하여 일제 경찰대와 교전하고 일제 기관을 습격하는 등 적에게 큰 피해를 줬다.
평안북도 용천 출생(1884년)인 장창헌 선생과 평안남도 대동 출생(1896년)인 이춘화 선생은 일찍부터 대한통의부 의용군에 참여하여 무장투쟁을 시작하였다. 1924년에는 친일파를 사살하고 가옥을 소각하는 등 무장투쟁을 벌이다 일제와 교전 중 순국하였다.
특히 1924년 5월 19일, 문화통치로 한국인들을 분열시킨 조선 총독 사이토 마코토가 압록강 상류에서 신의주를 향하여 국경을 시찰한다는 정보를 들은 참의부 참의장 채찬은 제2중대 장청헌에게 총독 사살을 명령하였으며, 김창균ㆍ장창헌ㆍ이춘화 선생은 매복을 하고 있다가 순시선을 향해 일제히 사격했다. 이에 당황한 일제 경찰은 제대로 대응조차 하지 못한 채 사격권을 벗어나 도망쳤다.
참의부의 저격 사건은 비록 성공하지는 못했으나 사이토 총독은 그 해 열린 일본 국회에서 조선 통치의 성과 보고도 하지 못하고 저격 사건의 상황을 구구절절하게 설명해야 했다. 또한, 독립신문을 비롯한 다수의 언론에 해당 사건이 대서특필되어 한민족의 항일의식을 크게 고무시키는 역사적인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정부는 선생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채찬ㆍ김창균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독립장을 장창헌ㆍ이춘화 선생에게는 건국훈장 애국장을 각각 추서하였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942호) 종이가 아닌 대나무에 쓴 글씨 '죽책’ (0) | 2024.05.04 |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30,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배알’과 ‘속알’ (0) | 2024.05.03 |
(얼레빗 제4941호) 세종, 백성이 싫다는 정책은 밀어붙이지 않아 (1) | 2024.05.01 |
국립중앙박물관, 영산(靈山) 모임-진천 영수사 괘불 (0) | 2024.05.01 |
부처님의 화엄세계를 표현한 수미단(불단) 사진전 (0) | 2024.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