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이 좋지 않다면 이를 행할 수 없다. 그러나 농작물의 잘되고 못된 것을 가서 자세히 관찰하고 조사할 때 각기 제 주장대로 고집하여 공정성을 잃은 것이 자못 많았고, 또 간사한 아전들이 잔꾀를 써서 부유한 자를 좋게 하고 빈한한 자를 괴롭히고 있어, 내 심히 우려하고 있노라.”

▲ 서울 여의도공원에 있는 세종 동상, 세종이 동상 앞 시민을 굽어보는 듯하다.
위는 《세종실록》 12년 7월 5일 치 기록입니다. 세종임금은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백성이 싫다면 이를 행할 수 없다고 합니다. 지도자의 생각이 만능이 아닐 수 있음을 잘 알고 있었으며, 임금이라도 맘대로 정책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닫고 있는 것입니다. 더구나 벼슬아치들이 공정성을 잃어 양반과 부자만 좋게 하고 가난한 백성을 괴롭히고 있음도 꿰뚫고 있습니다.
그뿐만이 아니라 세종은 들판을 지나갈 때면 일산(日傘, 양산)과 부채를 쓰지 않았으며 말을 타고 가다가 농부를 만나면 말에서 내려 걸어갔음은 물론 농사가 잘되지 않았다는 말을 들으면 가슴이 아파 점심을 들지 않았다고 합니다. 또 세종은 공법이라는 세제개혁을 시행하기에 앞서 직접 경기도 장단현 들판을 답사하기도 할 정도로 백성사랑에 철저했던 세종임금이지요. 이달 15일은 바로 우리의 위대한 세종임금이 태어난 날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30,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배알’과 ‘속알’ (0) | 2024.05.03 |
---|---|
5월 독립운동가, 채찬ㆍ김창균ㆍ장창헌ㆍ이춘화 (0) | 2024.05.02 |
국립중앙박물관, 영산(靈山) 모임-진천 영수사 괘불 (0) | 2024.05.01 |
부처님의 화엄세계를 표현한 수미단(불단) 사진전 (0) | 2024.05.01 |
(얼레빗 제4940호) 조선시대 군사용 무술 교본 《무예도보통지》 (0) | 2024.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