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 갓난아이에게 입히던 옷으로 배냇저고리와 두렁치마가 있었습니다. 웃옷으로 입히던 배냇저고리는 깃과 섶을 달지 않은 아기 옷으로 배내옷, 깃저고리라고도 합니다. 희고 부드러운 무명이나 명주로 만드는데, 등에 솔기를 하지 않고 배와 손을 덮을 정도로 길게 만들었지요. 그런가 하면 아랫도리로 입히던 두렁치마는 조선시대 어린아이의 배부터 아랫도리를 둘러주는 기능적인 치마로서 '두렁이', 또는 '배두렁이'라고도 하지요.
두렁치마는 뒤가 겹치지 않게 만들었는데 이는 누워있는 아기에게 뒤가 배기지 않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기저귀 갈기에도 편리하게 했습니다. 요즘처럼 옷감의 종류도 많지 않았고, 아기 속옷도 없던 옛날에 몸이 여린 갓난아이에게 보온용으로 입혔던 것이지요. 흔히 무명이나 명주, 융 따위를 겹으로 하거나 솜을 두어 만들었으며 누비로 만든 것이 많았습니다.
▲ 정교하게 손누비 하여 지은 두렁치마(석주선박물관 소장)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에서 보면 두 이레쯤(14일) 될 때 이 두렁치마를 입히기 시작한 듯합니다. 아기들이 기어다니기 전까지는 남아나 여아 같이 입었지만, 자라면서 주로 여아들만 입었습니다. 석주선기념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는 두렁치마는 1900년대 여아용 누비 두렁치마인데 전체를 손누비했으며, 길이 48cm, 폭 108cm의 이 두렁치마는 한 폭 좌우에 사다리꼴 형태의 무를 달아 양 끝이 처지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5026호) 조선시대, ‘달거리’를 어떻게 처리했나? (0) | 2024.11.16 |
---|---|
해로운 새로 전락한 까치 (0) | 2024.11.13 |
김수업의 우리말은 서럽다 56, 우리 토박이말의 속뜻 – 가시버시 (0) | 2024.11.10 |
(얼레빗 제5024호) 105년 전, 김원봉 의열단 창립 (1) | 2024.11.10 |
(얼레빗 제5023호) 입동, 사람 아닌 것들의 안부 궁금할 때 (0) | 2024.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