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4절기의 스물둘째 절기 ‘동지(冬至)’로 명절로 지내기도 했던 날입니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곧 ‘작은설’이라 하였는데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이른 다음 차츰 낮이 길어지기 시작합니다. 그래서 옛사람들은 이날을 해가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잔치를 벌여 태양신에게 제사를 올렸습니다. 그래서 동지를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했지요.
동지에는 팥죽을 쑤어 먹는데 원래 팥죽은 붉은색으로 귀신을 쫓는다는 뜻이 들어있습니다. 동짓날 팥죽을 쑨 유래는 중국 형초(荊楚, 지금의 후베이ㆍ후난 지방)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형초세시기(荊楚歲時記)》에 나옵니다. ‘공공씨’의 망나니 아들이 동짓날 죽어서 돌림병 귀신이 되었는데 그 아들이 평상시에 팥을 두려워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이 돌림병 귀신을 쫓으려 동짓날 팥죽을 쑤어 악귀를 쫓았다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9Hb63/btsLrO7Fhih/B6gIoxKXQ5WvyXhwttOgYk/img.jpg)
▲ 전쟁 일으키는 역귀, 그 역귀 없는 세상 만드는 팥죽을 쑤어볼까?(출처, 크라우드픽)
전병윤 시인은 <동지 팥죽>이란 시에서 “눈이 쌓여 오도 가도 못한 사람들이 굶어 죽어서 못된 짓 하는 역귀(鬼)가 되었다. 그는 피를 보면 바들바들 떤다. 그래서 피 대신 팥죽을 쑤어 집안 곳곳에 뿌리면서 악귀를 쫓는다.”라고 노래합니다. 우리 겨레가 팥죽을 쑤어 먹는 것에는 굶어 죽은 귀신과 겨울철 먹을 것이 없는 짐승들에게도 나눠줄 줄 아는 따뜻한 마음이 담겨 있습니다. 시인은 한 걸음 더 나아가 삼팔선의 철조망, 이스라엘이나 이라크의 전쟁도 역귀의 작란이 틀림없겠다면서 그런 역귀 없는 세상을 위해서 평화의 팥죽을 쑤어야겠다고 읊조립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5042호) 억압받는 사람들이 기다리던 미륵불 (0) | 2024.12.26 |
---|---|
다이너마이트와 눈사태로 찢겨 산화된 조선인 (2) | 2024.12.21 |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7 – ‘마고할미’ (0) | 2024.12.20 |
(얼레빗 제5040호)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올라 (0) | 2024.12.19 |
(얼레빗 제5039호) 세종, 백성이 싫어하면, 밀어붙이지 않았다 (0) | 2024.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