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성들이 좋지 않다면 이를 행할 수 없다. 그러나 농작물의 잘되고 못된 것을 답사하여 조사할 때 각기 제 주장을 고집하여 공정성을 잃은 것이 자못 많았고, 또 간사한 아전들이 잔꾀를 써서 부유한 자를 편리하게 하고 빈한한 자를 괴롭히고 있어, 내 심히 우려하고 있노라.“ 이는 《세종실록》 49권, 12년(1430년) 7월 5일의 기록입니다.
세종은 당시 벼슬아치들이 공정성을 잃어 양반과 부자만 좋게 하고 가난한 백성을 괴롭히고 있음을 꿰뚫고 있었으며,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백성이 싫다면 이를 행할 수 없다고 합니다. 지도자의 생각이 만능이 아님을 잘 알고 임금이라도 맘대로 정책을 시행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깨닫고 있는 것입니다. 이에 더하여 세종은 안건이 올라오면 마지막에는 자기가 결정하더라도 신하들이 충분히 갑론을박하게 하였습니다.
▲ 여의도공원 세종대왕 동상, 세종대왕이 백성을 바라보고 있다.
들판을 지나갈 때면 양산과 부채를 쓰지 않았으며 말을 타고 가다가 농부를 만나면 말에서 내려 걸어갔음은 물론 농사가 잘되지 않았다는 말을 들으면 가슴이 아파 점심을 들지 않았다고 하지요. 그뿐만이 아니라 공법이라는 세제개혁을 시행하기에 앞서 직접 경기도 장단현 들판을 답사하기도 할 정도였습니다. 세종이 위대한 임금이라고 평가받는 것에는 오만하지도 백성이 싫어하면 밀어붙이지도 않았던 데도 있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7 – ‘마고할미’ (0) | 2024.12.20 |
---|---|
(얼레빗 제5040호) <한국의 장 담그기 문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 올라 (0) | 2024.12.19 |
(얼레빗 제5038호) 성균관 유생들, 성균관 대사성 파직시켜 (1) | 2024.12.15 |
고열터널 속 조선인의 뼈ㆍ살을 갈아 넣은 공사 (3) | 2024.12.14 |
우리 토박이말의 속살 6 – ‘뜬금없다’ (0) | 2024.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