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583호) 거문고 연주로 슬픔과 기쁨을 이웃과 함께한 ‘강세황’

튼씩이 2017. 6. 21. 18:20

한국문화편지

3583호 (2017년 06월 19일 발행)

거문고 연주로 슬픔과 기쁨을 이웃과 함께한 ‘…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83]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내가 자식의 병으로 근심 중이었는데 강세황이 와서 거문고를 연주해 주었다. 그의 음악은 근심하는 사람은 기쁘게 하고, 병든 사람은 소생하게 하는 듯 했다. (중간 줄임) 어쩌면 그렇게 소리가 맑아서 사람을 감동시키는가?” 이는 성호 이익의 《성호전집(星湖全集)》에 나오는 글로 강세황이 그림뿐만이 아니라 거문고 연주도 수준급이었으며, 그가 거문고 연주로 슬픔과 기쁨을 주변과 함께 나누었음을 증명하는 이야기입니다. 강세황은 8살에 시를 지을 정도로 뛰어난 재주를 보였으나 관직에 나가야 할 즈음엔 집안이 기울고, 집권세력에 밀려 벼슬길이 꽉 막힌데다…
말뚝이가 상전양반을 돼지에 견주는 탈춤, 가산오광대
고려시대 찻물을 끓이던 화로인가, “귀면청동로”
<을묘년 화성능행도>에 그려진 사람은 몇 명일까?
문익점, 목화씨를 훔쳐오지 않았다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홍련(紅蓮) – 선비들이 사랑한 꽃 [큐레이터 추천유물 47]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 1707~1769)의 <홍련(紅蓮)>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 《화원별집(花苑別集)》…
색깔감자 ‘자영ㆍ홍영’으로 건강한 여름나기 농촌진흥청, 항암ㆍ항산화 성분 가득한 감자의 요리법 소개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성제훈 기자] 농촌진흥청(청장 정황근)은 건강한 여름을 나기 위해 안토시아닌(채소나 과일의 색소에 함유된 천연화합물로 활성산소…
한국문화를 통해 모두가 행복한 세상을 꿈꿔 [서평] 김영조의 《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인물과사상…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철관 기자] 우리문화를 쉽고 재미있게 풀어내고 있는 한 작가가 시와 음악, 그림과 풍속 등으로 한국전통문화를 소개한 책이 나왔다…
[화보] 조선왕조 6대왕 단종의 유배지 청령포
소크라테스는 아무 것도 가르친 것이 없다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 유산에 오른 “아리랑”
사과도 배도 아닌 것이, 연변사과배
동포의 학살 참극을 알리려다 일제에 암살당한 장덕…
캔버스 아닌 자연을 매개로한 공존순환 배우기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20] 장마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장 마 줄곧 오면 탄하건만 안 오면 땅 터지니…

국악 속풀이

더보기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 유산에 오… [국악 속풀이 319]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앙아시아와 러시아에서 불리…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82살에 게임을 개발한 와카미야 마… [맛 있는 일본 이야기 403]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예순 살에 컴퓨터를 배우기 시작하여 82살에 게…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1987년 6월 민주항쟁을 기념하는 사진…
섬네일
봄날의 꽃 그리고 사랑
섬네일
조선 궁중무희 리진, 국립무용단 무용수…
섬네일
‘정자관’, ‘흑립’, ‘초립’, ‘지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