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580) <을묘년 화성능행도>에 그려진 사람은 몇 명일까?

튼씩이 2017. 6. 15. 10:38

한국문화편지

3580호 (2017년 06월 14일 발행)

<을묘년 화성능행도>에 그려진 사람은 몇 명일…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80]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을묘년 화성능행도>는 1795년 정조의 어머니인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정조가 어머니를 모시고 현륭원까지 가는 원행의 일정 가운데 중요한 장면 8개를 그린 8폭의 병풍입니다. 특히 혜경궁 홍씨와 사도세자(장조)는 동갑이기 때문에 사도세자의 회갑도 겸하는 행사이며, 혜경궁 홍씨가 남편인 사도세자의 무덤에 처음으로 절을 올리는 뜻깊은 행사이기도 하지요. 이 병풍은 폭의 순서는 다르지만 현재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고궁박물관,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습니다. 비단에 화려한 빛깔로 그린 이 병풍의 한 폭 크기는 가로가 62cm, 세로 142cm의…
문익점, 목화씨를 훔쳐오지 않았다
여닫이문을 열면 금동삼신불이 있는 “천은사 금동불감”
어젯밤 핀 꽃 바람에 지는구나
자유로운 필치가 멋진 서산대사 친필 서첩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 유산에 오른 “아리랑” [국악 속풀이 319]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앙아시아와 러시아에서 불리고 있는 “아리랑”의 발자취를 찾아 나선 4인, 즉 미국 유타대학 명예교…
사과도 배도 아닌 것이, 연변사과배 석화시 감상과 해설 10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석화 시인] 사과도 배도 아닌 것이, 연변사과배 사과도 아닌 것이 배도 아닌 것이 한 알의 과일로 무르익어 가고 있다 백두산 산줄기…
동포의 학살 참극을 알리려다 일제에 암살당한 장덕… 보훈처 선정, 6월의 독립운동가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장덕준(秋松 張德俊)은 한국 최초의 순직기자였다. 한국신문편집인협회는 1964년 4월 30일 유공언론인 기념사업의 하…
캔버스 아닌 자연을 매개로한 공존순환 배우기
수국처럼 둥근 웃음이 무더기로 쏟아지네
[시가 있는 풍경 57] 약수
동학의 횃불에서 광화문의 촛불까지 역사를 만들다
[화보] 임진강가 화석정의 초여름 풍광
국립서울현충원 납골당에 모셔진 조충성 애국지사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시조 319] 달팽이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달 팽 이 앗긴다고 집을 업어 즈믄 길을 가…

국악 속풀이

더보기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 유산에 오… [국악 속풀이 319]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중앙아시아와 러시아에서 불리…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82살에 게임을 개발한 와카미야 마… [맛 있는 일본 이야기 403]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예순 살에 컴퓨터를 배우기 시작하여 82살에 게…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국보 제78호 금동반가사유상 보존처리를…
섬네일
전통 연희에 슬랩스틱 코미디가? 파키스…
섬네일
슈만 대표작품 “시인의 사랑”, 김장원…
섬네일
소리꾼 김태희, ‘청중을 쥐락펴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