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594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조각 우수하고 아름다운 불상

튼씩이 2017. 7. 5. 16:57

한국문화편지

3594호 (2017년 07월 04일 발행)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 조각 우수하고 아름…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594]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강원도 평창군 오대산에 있는 상원사는 신라 성덕왕 4년(705)에 보천과 효명 두 왕자가 창건한 진여원(眞如院)에서 시작된 절로, 조선 세조가 이곳에서 문수동자를 만나 질병을 치료했다는 전설이 내려옵니다. 이처럼 상원사는 문수신앙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곳에는 국보 제221호 <평창 상원사 목조문수동자좌상(平昌 上院寺 木造文殊童子坐象)>이 있습니다. 이 문수동자상은 예배의 대상으로서 만들어진 국내 유일의 동자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합니다. 머리는 양쪽으로 앙증맞게 묶어 올려 동자머리를 하고 복스러운 얼굴은 물론 입가에 잔잔한 미…
달빛이 거문고를 타는지, 거문고가 달빛에 빠졌는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군위법주사왕맷돌”
자연의 소리를 닮은 국악, 태교에 안성맞춤
옷칠이 남아있는 남북국시대 <청동 옻 발걸이>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22] 반딧불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반 딧 불 뜨겁잖고 밝던 빛은 옛날엔 선비의 불 길잖는 목숨을 배울이께 바친걸까 반딧불 너희 날 때면 우리 마음…
[시가 있는 풍경 59] 정선가는 길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김명호 시인] 정선가는 길 녹음은 첩첩하고 고개는 구비구비 굽어진 길자락에 한가함이 만연해 푸름은 가득하건만 그리운님 없어…
“운현” 글씨가 쓰인 청화백자 <영지 넝쿨무늬 병> [큐레이터 추천유물 48]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한성훈 기자] 조선시대 청화백자를 생각하면 우선 18세기 문인(文人)의 그림과 같이 잔잔하고 정갈한 모습을 떠올리게 됩니다. 푸른…
우리 집 우렁각시, 엄마 / 길송월
"대한민국 근대" 수집가 1호 최웅규를 추억한다
‘보다’와 비슷하면서도 다른 스물일곱 가지 낱말들
농약으로 해충 전멸은 안 되고 차라리 충제를?
충주 칠금동에서 백제 제철유구 대량 확인
도산 안창호의 <애국가>, 따로 있었다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22] 반딧불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반 딧 불 뜨겁잖고 밝던 빛은 옛날엔 선비의…

국악 속풀이

더보기
아리랑, 민족을 하나로 묶는 힘의… [국악 속풀이 322]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아리랑은 슬픈 감정으로 느리게 부르면 구슬…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무더위에 선물을 주고받는 “오츄… [맛있는 일본이야기 405]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에는 “오츄겐(お中元, 御中元)”이라고 해…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첼로만으로 들려주는 푸르름과 싱그러움
섬네일
여름 밤, 잔디밭에 앉아 즐기는 ‘보이스…
섬네일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와 함께하는 시…
섬네일
올 여름 추천 ‘피서지’는 서울시내 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