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808호)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려 먹 ‘단산오옥’

튼씩이 2018. 5. 2. 07:48

한국문화편지

3808호 (2018년 05월 02일 발행)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고려 먹 ‘단산오옥’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808] [신한국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청주박물관에 가면 청주 명암동에서 출토된 것으로 보물 제1880호 “‘단산오옥(丹山烏玉)’ 글씨 새겨진 고려 먹”이 있습니다. 이 먹은 1998년 청주시 동부우회도로 건설공사 중 에 발굴된 고려시대 목관묘에서 나온 것으로 현재 전해지는 것 가운데 가장 오래된 먹입니다. 출토될 때 이 먹은 묻힌 이 머리맡 부근에 두 토막이 난 상태로 한자 “단산오(丹山烏)”라는 글자가 세로글씨로 새겨 있었지요. 그리고 ‘烏’자 밑에 ‘一’자 획이 보이는데, 이는 ‘玉’의 첫 획으로 먹을 갈아 사용하면서 닳고 남게 된 획으로 짐작합니다. 여기서 ‘단산(丹山)’이란 10…
1909년 오늘, 일제와 싸운 베델 죽은 날
껴묻거리 “황남대총 북분 금제 굽다리접시”
운명적 기다림을 노래한 전통가곡 “바람은”
눈썹 위에 작은 혹이 그려진 태조어진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편경을 깨뜨리면, 곤장 백대를 맞았다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65]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외형 모습이 비슷해 보이지만, 편종은 목사자, 편경은 백아(白鵝), 곧 흰거위를 받침대로…
어린이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다 [허홍구 시인의 세상 읽기 43]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어린이는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다 꽃 보다 더 아름다운 아이들의 선한 모습 자꾸 보고 싶다. 꾸미지 않은 순수한 몸짓과…
‘생명탈핵 실크 로드 순례단’ 따라서 네팔을 가다 ‘생명탈핵 실크 로드’ 네팔 방문기 (1)
섬네일 [신한국문화신문=이상훈 교수] 환경칼럼니스트인 이상훈 교수가 ‘생명탈핵 실크 로드 순례단’과 함께 한 네팔 순례기 12회분을 보내왔다. 이틀동안…
오늘은 봄비가 내려 백곡을 기름지게 하는 ‘곡우’
“세월호 참사” 4돌, 이 북받치는 슬픔 어쩌라고
시 한편, 낡고 오래된 골목길을 환하게
1919년 오늘은 대한민국임시정부가 태어난 날
석불과 마애불, 그 심원의 세계
날더러 어쩌라고 진달래는 저리 피는가!

토박이말 시조

더보기
[토박이말 시조 356] 봄 안개
[신한국문화신문=김리박 시조시인]

국악 속풀이

더보기
편경을 깨뜨리면, 곤장 백대를 맞… [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65]
[신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외형 모습이 비슷…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일본의 어머니날은 5월 13일 맛있는 일본 이야기 441
[신한국문화신문=이윤옥 기자] 5월 8일은 한국의 어버이날이지만 일본은 어버이…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호모 소금 사피엔스_소금을 가진 지혜의…
섬네일
[전시] 색으로 말하다
섬네일
호랑이다리 소반, 출장가는 공고상 보셨…
섬네일
장안중, 한중미술협 회원 초대전 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