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3970호) 은입사 기법으로 물가의 풍경을 그린 정병

튼씩이 2018. 12. 14. 17:48

한국문화편지

3970호 (2018년 12월 14일 발행)

은입사 기법으로 물가의 풍경을 그린 정병
섬네일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70][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국보 가운데는 제92호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무늬정병”이 있습니다. 정병(淨甁)이란 원래 인도에서 승려가 여행을 할 때 밥그릇이나 옷과 함께 메고 다니던 물병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그러나 차츰 이 물병이 부처님 앞에 깨끗한 물을 바치는 공양구(供養具)로서 그 쓰임의 폭을 넓혀갔습니다. 또 병에 들어 있는 감로수(甘露水)를 통해 모든 중생들의 목마름과 고통을 덜어준다고 하는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의 정병은 바로 이러한 자비의 상징물이기도 했지요. 정병의 재료는 주로 청동과 도자기인데 특히 불교를 숭상한 고려시대에는 향로와 함께…
오래 돼도 빛깔이 바래지 않는 전통 먹
중간에 노름굿도 하는 “동해안별신굿”
미륵님이 오시기를, 사천 흥사리 매향비
영추문 열려, 세종철학 빛낼 문화거리로
지난 한국문화편지 보기 >

오늘의 머릿기사

더보기
문경새재를 넘어 세계 동포가 함께 부른 아리랑‘디아스포라 아리랑 제11회 문경새재아리랑제’ 화려한 막…
섬네일 [우리문화신문=문경 김영조 기자] 아리랑 아리랑 아라리요 아리랑 고개로 날 넘겨주소 캄캄하던 세상, 멀리서 아낙의 문경새재 아리랑이 애처롭게 들…
우리말의 오묘한 말맛, 훈민정음이 살려줘세종대왕 즉위 600돌, ‘세종대왕즉위600주년모두모임’ 행…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광옥 명예교수] 이번 호에서는 한 번 더 잠시 며칠 전의 세종 행사를 정리해보고자 한다. 금년은 특히 세종이 임금에 오른 지 600돌이…
치계미ㆍ도랑탕잔치로 어르신을 받드는 입동[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3943]
섬네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24절기 열아홉째 ‘입동(立冬)’입니다. 입동은 이날부터 '겨울(冬)에 들어선다(立)'라는 뜻이지요. 이때쯤이면…
[화보] 대홍수에 사라졌던 북한산성 행궁지 복원중
오늘은 가을바람 가득한 24절기 상강
중국 긴 창, 일본은 칼, 우리 겨레는 활
독립유공자 6명을 낸 배화여고, 독립운동의 산실
씨앗과 열매 / 김정애
오늘은 흰 이슬이 내리는 24절기 백로(白露)

우리음악 이야기

더보기
태평가의 절정부분 제4장의 ‘우…서한범 교수의 우리음악 이야기 397]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가곡 한 바탕의 마지막 곡으로 남녀…

토박이말 이야기

더보기
[오늘 토박이말]울이(사)토박이말바라기와 함께하는 참우리…
[우리문화신문=이창수기자] [토박이말 맛보기] 울이/(사)토박이말바라기 이…

맛있는 일본 이야기

더보기
외국인 노동자 고용을 유연하게 확…[맛있는 일본이야기 467]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정부가 만성적인 일손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외…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더보기
섬네일
그림으로 보는 한국문학 33편, 어떤 그림…
섬네일
문경새재를 넘어 세계 동포가 함께 부른…
섬네일
어머니ㆍ할머니의 그리운 일상 속 한복…
섬네일
웅장한 오고무의 울림으로 새해를 열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