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을 배우자/한글맞춤법 해설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1)

튼씩이 2019. 7. 22. 08:32




이 조항에서는 합성어와 파생어를 구성하는 요소들의 원형을 밝혀 적을 것을 규정하고 있다. 첫째,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합성어를 이룰 때에는 단어의 원형을 밝혀 적는다. 예를 들어 ‘꽃’과 ‘잎’이 합성어를 이룰 때 [꼰닙]으로 소리가 나지만 단어의 원형을 밝혀 ‘꽃잎’으로 적는다. ‘눈’과 ‘살’이 합성어를 이룰 때도 [눈쌀]로 소리 나지만 ‘눈’과 ‘살’이 자립적으로 쓰이므로 ‘눈살’로 형태소를 밝혀 적는다.


     꽃+잎→꽃잎
     눈+살→눈살
     빛+나다→빛나다


한편 제시한 말 가운데 ‘끝장’, ‘밑천’, ‘싫증’은 구성 요소 가운데 하나가 실질 형태소로 분명하게 분석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끝장’은 ‘끝’에 비해서 ‘장’의 의미가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다. 그렇지만 실질 형태소인 ‘끝’과 함께 쓰여 ‘끝장’의 전체 의미를 구성한다고 생각하면 ‘장’을 실질 형태소로 분석할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밑천[믿천], 싫증[실쯩]’도 비슷한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다.


둘째, 접두사가 자립적인 어근에 결합하여 새로운 단어가 형성될 때, 어근의 본뜻이 유지되고 파생어의 의미를 접두사와 어근의 의미로 예측할 수 있으면 원형을 밝혀 적는다.


     헛-+웃음→헛웃음
     샛-+노랗다→샛노랗다
     짓-+이기다→짓이기다


한편 접두사 ‘새-/시-, 샛-/싯-’은 뒤에 오는 말에 따라 구별된다. 된소리, 거센소리, ‘ㅎ’ 앞에는 ‘새-/시-’가, 유성음 앞에는 ‘샛-/싯-’이 결합한다. 이 중 ‘새-, 샛-’은 뒷말이 양성 모음일 때, ‘시-, 싯-’은 뒷말이 음성 모음일 때 결합한다.


     새까맣다/시꺼멓다          새빨갛다/시뻘겋다
     새파랗다/시퍼렇다          새하얗다/시허옇다
      샛노랗다/싯누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