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ㄹ' 받침을 가진 말이 합성어나 파생어를 형성할 때 'ㄹ' 받침이 발음되지 않게 바뀐 경우에는 바뀐 대로 적는다. 역사적으로 'ㄹ'은 'ㄴ, ㄷ, ㅅ, ㅈ' 앞에서 탈락하는 일이 적지 않았다. 아래 단어도 그러한 예이다.
나날이(←날+날+-이) 무논(←물+논) 무쇠(←물+쇠)
부넘기(←불+넘-+-기) 아드님(←아들+-님) 차돌(←찰-+돌)
또한, 한자 '불(不)'이 첫소리 'ㄷ, ㅈ' 앞에서 '부'로 읽히는 단어의 경우도 바뀐 대로 적는다. 이러한 경우도 사전에서 구체적인 예를 확인할 수 있다.
부당(不當), 부동(不同, 不凍, 不動), 부득이(不得已), 부등(不等), 부정(不正, 不貞, 不定), 부조리(不條理), 부주의(不注意) ……
'우리말을 배우자 > 한글맞춤법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30항 (1) (0) | 2019.07.27 |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9항 (0) | 2019.07.26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2) (0) | 2019.07.24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4절 합성어 및 접두사가 붙은 말 제27항 (1) (0) | 2019.07.22 |
제4장 형태에 관한 것 제3절 접미사가 붙어서 된 말 제26항 (0) | 2019.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