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다면 ‘예쁘다, 앙증맞다’ 따위 긍정적인 말 앞에 어찌씨 “너무”를 쓰면 그 말뜻은 예쁘고 앙증맞아서 좋지 않다는 뜻으로 풀이될 수 있습니다. “너 오랜만에 보니까 너무 예뻐졌다.”라고 하면 결국 “예뻐져서 안 좋다.”라는 뜻이 되어 비아냥거리는 말로 들릴 수 있지요. 물론 “개떡같이 말해도 찰떡같이 알아들어라.”라고 하면 할 말이 없지만 어쨌든 학교에서 국어를 12년 이상 배운 사람들로서 “너무”라는 말을 함부로 쓸 일은 아닙니다.
2008년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기 직전 이경숙 당시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이 “미국에서 오렌지라고 말하면 아무도 못 알아듣는다, ‘어륀지’라고 해야 알아듣는다”라고 하여 논란이 된 적이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그렇게 영어 쓰는 일에는 신경을 쓰면서 정작 우리말 쓰는 일에는 대수롭지 않게 생각합니다. 말글은 쓰는 사람의 품격을 말해줍니다. 시정잡배가 쓰는 말을 한다든지, 욕설을 섞어 말을 한다든지 하면 어찌 그 사람을 교양 있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교양인들이라면 남의 나라말인 영어가 아니라 우리말 쓰기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