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표제 다음에 해당 항목을 들거나 설명을 붙일 때 쓴다.
(예) 문방사우: 종이, 붓, 먹, 벼루 (예) 일시: 2014년 10월 9일 10시 (예) 흔하진 않지만 두 자로 된 성씨도 있다.(예: 남궁, 선우, 황보) (예) 올림표(#): 음의 높이를 반음 올릴 것을 지시한다.
|
표제에 해당하는 항목을 열거하여 보이거나 표제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붙일 때 표제 다음에 쌍점을 쓴다.
(1) 십장생: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사슴
(2) 문장 부호: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쉼표 등
(3) 장소: 광화문 광장 일대
(4) 협동: 마음과 힘을 하나로 합하는 것
(2) 희곡 등에서 대화 내용을 제시할 때 말하는 이와 말한 내용 사이에 쓴다.
(예) 김 과장: 난 못 참겠다. (예) 아들: 아버지, 제발 제 말씀 좀 들어 보세요.
|
희곡이나 시나리오 등에서 등장인물의 대화 내용을 나타낼 때 등장인물의 이름과 대화 내용 사이에 쌍점을 쓴다.
(5) 로미오: (정원에서) 안녕히! 내 사랑. 기회 있을 때마다 반드시 소식을 전하겠소.
줄리엣: 하지만 우리가 다시 또 만날 수 있을까요?
'우리말을 배우자 > 문장 부호 해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장 부호 해설 - 7. 빗금(/) (1) (0) | 2020.01.07 |
---|---|
문장 부호 해설 - 6. 쌍점(:) (2) (0) | 2020.01.06 |
문장 부호 해설 - 5. 가운뎃점(·) (2) (0) | 2019.12.31 |
문장 부호 해설 - 5. 가운뎃점(·) (1) (0) | 2019.12.25 |
문장 부호 해설 - 4. 쉼표(,) (7) (0) | 2019.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