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엇을 하든 간에 / 때를 아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없겠거늘 / 밤에는 물시계(자격루)가 있지만 / 낮에는 알 길이 없더니 / 구리를 부어 기구를 만드니 / 형체는 가마솥과 같고 / 반경에 둥근 틀을 설치하여 / 남과 북이 마주하게 하였다 / (가운데 줄임) / 동물신의 몸을 그리기는 / 글자 모르는 백성 때문이요 / 각과 분이 또렷한 것은 / 햇볕이 통하기 때문이요 / 길가에 두는 것은 / 구경꾼이 모이는 때문이니 / 이제 비로소 / 백성이 일을 시작할 것을 알게 되리라”
이는 세종 때 오목해시계를 만들고 기록했던 김돈이 오목해시계를 만든 의의를 살피고 그 기쁨을 노래한 글입니다. 그 당시 시간을 측정하고 알리는 것은 임금 고유 권한이었습니다. 그런데도 세종은 오목해시계를 만들어 누구나 볼 수 있게 사람들이 많이 다니던 혜정교(현재 교보문고와 광화문우체국 사이에 있던 다리) 길가에 세우고 시간을 백성들이 스스로 알 수 있게끔 나눠 주었지요. 그것도 한자 모르는 백성과 어린아이까지 배려한 것으로 세종대왕이 훈민정음을 창제하기 9년 전에 글자를 모르는 백성을 위해 만든 훈민정음에 버금가는 값어치를 지닌 시계입니다.
▲ 12지신 그림을 넣은 오목해시계 복원가상도(김슬옹 교수)
다시 말하면 그때 양반들만 알던 한자로 써놓으면 일반 백성에겐 그림의 떡이 될 수밖에 없는 것을 묘시(卯時) 곧 새벽 5-7시는 토끼, 진시(辰時) 곧 7~9시는 용, 사시(巳時) 곧 9~11시는 뱀, 오시(午時) 곧 11~1시는 말, 미시(未時) 곧 낮 1~3시는 양, 신시(申時) 곧 3~5시는 원숭이, 유시(酉時) 곧 저녁 5~7시는 닭 그림으로 표시해 놓은 것이지요. 그런데 요즘 복원했다는 대다수 오목해시계에는 이런 그림이 있지 않아 원래 세종의 뜻이 살려 있지 못합니다. 세종대왕은 자신의 권력을 백성에게 나눠준 정말 위대한 임금입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482호) 독립투쟁의 큰 등불 대종교 창시한 '나철’ (0) | 2020.12.02 |
---|---|
(얼레빗 4481호) 종묘제례악 시작할 때 치는 악기 특종 (0) | 2020.12.01 |
(얼레빗 4479호) 호랑이가 입을 벌린 이동식 소변기 ‘호자’ (0) | 2020.11.27 |
(얼레빗 4478호) 개구쟁이처럼 혀를 내밀고 있는 경복궁 천록 (0) | 2020.11.26 |
(얼레빗 4477호) 《소학》 읽는 아이 어찌 큰 뜻 알겠는가 (0) | 2020.1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