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얼레빗 4597호)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보물 지정

튼씩이 2021. 5. 12. 07:49

지난 4월 21일 문화재청은 나주 정촌고분에서 출토된 ‘금동신발’을 보물 제2125호로 지정했다고 밝혔습니다. 5~6세기 무렵 영산강유역에는 복암리고분군, 정촌고분, 영동리고분군 등 대형 고분이 축조되었는데, 그중 정촌고분은 1,500여 년 전 백제ㆍ마한 문화를 가장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고분이면서 도굴 피해를 보지 않아 매장의 원형을 알 수 있어 고고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무덤입니다.

 

 

 

▲ 보물 제2125호 ‘나주 정촌고분 출토 금동신발’

 

 

 

정촌고분 1호 석실 제3목관에서 발견된 이 금동신발은 좌우 신발 한 쌍이 거의 훼손되지 않은 채 완벽한 모습으로 출토되었으며, 특히, 발등 부분에 붙은 용머리 꾸미개(장식)는 현존 삼국 시대 금동신발 가운데 유일한 사례로 주목을 받았는데 국립나주문문화재연구소의 최근 과학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발의 주인은 40대 여성인 것으로 추정되었습니다.

 

 

이 금동신발은 형태와 제작기법, 무늬 등에서 고창 봉덕리에서 출토된 금동신발과 매우 비슷합니다. 얇은 금동판 4장으로 바닥판과 좌우 옆면판, 발목깃판을 만들어 서로 작은 못으로 연결하였고 무늬를 뚫새김(투각)해 세부를 선으로 묘사한 방식 등 고대 금속공예 기법이 잘 반영되어 있지요. 아울러 육각무늬, 용무늬, 인면조신(人面鳥身), 괴수무늬, 연꽃무늬 등 죽은 뒤의 영생(永生)을 비손했던 고대인들의 사후세계관이 반영된 듯한 다양한 무늬가 정교하고 세밀하게 표현되어 있어 조형적으로도 매우 우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