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일찍 일어나 이부자리를 네 손으로 개어 깨끗한 곳에 두어라. 이어 비를 가지고 자리를 깨끗하게 쓸고 머리는 얼레빗으로 빗고, 빗을 빗통에 넣어 두어라. 이따금 거울을 보며 눈썹과 살쩍을 족집게로 뽑고 빗에 묻은 때를 씻어 깨끗하게 해라. 세수하고 양치하며 다시 이마와 살쩍을 빗질로 매만지고, 빗통을 정리하고 세수한 수건은 늘 제자리에 두어라.”
윗글은 안평대군, 한석봉, 김정희와 더불어 조선 4대 명필의 하나인 이광사(李匡師, 1705∼1777)가 유배지에서 딸에게 절절히 쓴 편지 일부입니다. 자신은 유배를 떠나고 아내는 목을 매 죽어 부모 없이 홀로 남은 딸에게 이광사는 사랑을 담아 편지로 가르침을 주었지요. 여기에 두 번이나 나오는 살쩍은 관자놀이와 귀 사이에 난 머리털을 말합니다. 그런데 상투를 틀고 망건을 쓰던 선비들도 망건 바깥으로 빠져나온 살쩍을 망건 안으로 밀어 넣으려 “살쩍밀이”라는 빗을 썼지요. 살쩍밀이는 대나무나 뿔로 얇고 갸름하게 만듭니다. 깔끔한 선비들은 살쩍밀이를 주머니에 넣고 다니면서 수시로 머리를 가지런히 했습니다.
▲ 선비들이 망건 속에 살쩍을 밀어 넣는데 썼던 ‘살쩍밀이’
우리나라 사람들은 단정한 차림을 중시하여 매일 아침 첫 일과는 얼레빗과 참빗으로 머리를 가다듬었으며, 살쩍밀이를 가지고 다니며 수시로 살쩍을 밀어 넣을 만큼 머리카락 한 올이라도 흐트러짐이 없도록 하였지요. 《동의보감》에서는 “머리를 자주 빗으면 눈이 밝아지고 풍사(風邪)가 없어진다.”라고 하여 건강 수단으로 하루에 50∼100회의 빗질을 권장하기도 하였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4609호) 선조 임금 피난길 불쏘시개가 된 화석정 (0) | 2021.05.30 |
---|---|
[아들, 딸에게 들려 주는 좋은 말씀]19-쉬운 일을 어려운 일처럼... (0) | 2021.05.27 |
디지털 세상에서 꽃피는 한글 (0) | 2021.05.26 |
[토박이말 살리기]1-48 던적스럽다 (0) | 2021.05.26 |
(얼레빗 4607호) 33인 중 유일한 옥중 순국 양한묵 지사 (0) | 2021.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