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 있는 이야기/아름다운 우리문화 산책(김영조)

판서를 부끄럽게 한 아전 김수팽

튼씩이 2021. 12. 14. 12:56

판서를 부끄럽게 한 아전 김수팽

 

조선시대 선비들은 청렴한 사람이 많았습니다. 특히 비가 새는 방안에서 일산(日傘)을 받친 채 일산이 없는 집에서는 장마철을 어떻게 견디어 내나?”라고 했다는 유관(柳寬)은 조선조 청백리로 소문났지요. 이수광의 조선의 방외지사에 보면 청백리 벼슬아치 김수팽(金壽彭)의 이야기가 나옵니다. 조선 영조 때 호조 아전을 지낸 김수팽은 청렴하고 강직해 전설의 아전(衙前)’이라 불렸는데 다음과 같은 일화도 있습니다.

 

 

호조 창고에 나라 보물로 저장한 금바둑알 은바둑알수백만 개가 있었는데 판서가 한 개를 옷소매 속에 집어넣는 것을 보았습니다. 김수팽이 무엇에 쓰시려고 하십니까?”라고 묻자 판서는 어린 손자에게 주려고 한다라고 대답했지요. 이에 김수팽은 금바둑알 한 움큼을 소매에 넣으며 소인은 내외 증손자가 많아서 각기 한 개씩만 준다고 해도 요 정도로는 부족할 것입니다라는 말을 해 판서가 금바둑알을 가져갈 수가 없도록 했습니다. 또 김수팽은 아전인 아우가 부업으로 염색을 하는 것을 보고 나라의 녹을 받는 사람이 부업을 하면 가난한 사람이 먹고살 수 없다며 물감통을 뒤엎기도 했지요.

 

조선 선비들은 사불삼거四不三拒를 좌우명으로 삼고 철저히 지켰습니다. ‘네 가지를 하지 않고 세 가지를 거절한다라는 뜻이지요. 사불四不은 곧 부업을 하지 않고, 땅을 사지 않으며, 집을 늘리지 않고, 재임 중인 고을의 특산물을 먹지 않는 것을 일컫습니다. 또 삼거三拒는 윗사람이나 세도가의 부당한 요구를 거절하고, 청을 들어준 다음 답례를 거절해야 하고, 재임 중 경조사에 부조를 일체 받지 않는 것을 이릅니다. 이 사불삼거만 잘 지켜도 화를 면하고 올바른 공인으로 살아갈 수 있지 않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