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수교 30돌을 맞아 대한민국 보물로 등록된 윤봉길 의사의 자필 이력서와 유서를 비롯한 백범일지 초판 서명본 등이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에서 일반에 공개된다. 국가보훈처(처장 박민식)는 5일 “9월 6일(화)부터 12월 25일(일)까지, 서울 서대문구 임시정부기념관 1층 특별전시실에서 1992년 맺어진 한중수교 30주년을 맞아, 수교 이후 진행된 임시정부청사 복원 등 각종 유물 155점을 공개하는 특별전시를 진행한다”라고 밝혔다.
‘금란지교(金蘭之交), 위대한 동행’이라는 주제로 열리는 이번 전시는 ‘한중수교 이후 진행된 임시정부 청사 복원’과 ‘독립운동가의 유해봉환 사업’, ‘공동학술조사와 연구’ 등 3부로 나눠 전시된다. 1992년 맺어진 한중수교는 임시정부 청사를 비롯한 유적지를 찾아 보존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상하이 보경리(普慶里) 4호 청사를 시작으로 충칭 연화지(蓮花池) 건물과 항저우 호변촌(湖邊村) 청사에 이어, 최근에는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청사까지 복원되어 본래 모습을 되찾을 수 있었다.
1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의 복원’에서는 임시정부 시절 독립운동의 긴박함과 그 과정에서의 임시정부 활동 흔적을 볼 수 있도록 관련 유물과 사진ㆍ영상으로 구성됐고, 수교 이후의 복원 과정과 노력, 그리고 그 결과인 청사의 모형과 도면, 각종 보고서를 직접 확인할 수 있다.
주요 전시물로는 1992년 8월 24일 맺은 ‘한중수교문서’와 1917년부터 1930년까지 임시정부 재정의 수입과 지출 내역을 정리한 ‘대한민국임시정부 결산안’, 그리고 ‘백범일지 초판 서명본’ 등이다. ‘백범일지 초판 서명본’은 김구 선생이 1929년, 중국 상하이 보경리 청사에서 집필한 <백범일지> 상편을 1947년 백범일지출판사업소에서 펴낸 것으로, 김구 선생의 서명이 수록돼 있다.
▲ 한중수교문서
▲ 《백범일지》 초판 서명본
2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유해의 봉환’에서는 한중수교의 또 다른 성과물인 독립운동가의 유해봉환을 전시내용으로 다룬다. 한ㆍ중 국교 수립으로 한국 정부는 공식적인 유해 봉환을 추진했다. 1993년 상하이 만국공묘(萬國公墓)에 안장되어 있던 임시정부 요인 5위(박은식, 신규식, 노백린, 김인전, 안태국)가 봉환된 것을 시작으로, 중국에 남아 있던 독립운동가들의 유해봉환이 지속되고 있다.
주요 전시물로는 대한민국 보물로, 윤봉길 의사가 생전에 지니고 있던 ‘윤봉길 의사의 자필 이력서와 유서’, 이름, 본적, 본관, 부모의 이름 등이 기록된 공책을 비롯해 1995년 8월 5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선열 5위(박은식, 신규식, 노백린, 안태국, 김인전) 천묘식(이장하는 의식) 사진과 독립영웅들의 유해 환국을 환영하는 기사 등이다.
▲ 윤봉길 의사 유서(공책 가운데 일부) - 왼쪽, 윤봉길 의사 공책 표지 / 대한민국 14년(1932) 이전 | 세로 27.1㎝ 가로 17.5㎝ | 국립중앙박물관 [보물]
▲ 동제사 도장, 1910년대, 지름 5㎝, 박천민
▲ '대한민국 임시정부 결산안', 대한민국 12년(1930) 11월 18일, 각 세로 26.8㎝ 가로 19㎝,| 국회도서관
▲ 한인애국단원 이력서와 봉투, 대한민국 14년(1932)경 | 유상근 이력서 세로 28㎝ 가로 17.8㎝, 이덕주 이력서 세로 16.2㎝ 가로 24.9㎝, 봉투 세로 14.7㎝ 가로 10.3㎝ | 국립중앙박물관
3부, ‘한중수교로 시작한 공동 조사와 연구’에서는 1992년 이후 진행된 한중간의 학술교류와 공동조사ㆍ연구, 그리고 그 성과를 소개한다. 1992년부터 최근까지 진행된 한중간 국제학술대회 자료집과 기념품, 연구 조사단 사진 등과 함께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를 지킨 사람들’을 내용으로 하는 인터뷰 영상도 만날 수 있다.
이번 전시는 한중수교 30돌을 맞아, 국민이 독립운동가들의 노력과 헌신의 흔적인 임시정부 청사와 유해봉환 관련 전시를 관람하며 그들의 독립 의지와 과정을 기억하고, 조국 사랑 정신을 계승할 수 있게 하려고 기획됐다. 특별전 관람료는 무료이며, 전시기간(9월6일∼12월25일) 동안 아침 10시부터 저녁 6시까지 관람할 수 있다. 월요일은 쉰다.
김희곤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장은 “한중수교 30돌을 기려 여는 특별전에 많은 국민이 찾음으로써,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역사와 가치를 함께 기억하고 되새기는 소중한 기회가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746호) 황진이, 얼레빗을 하늘에 걸어두었다네 (0) | 2022.09.12 |
---|---|
일제의 화투놀이보다는 우리 전통 윷놀이를 (0) | 2022.09.09 |
(얼레빗 제4743호) 신라 때부터 쓰던 토박이말 ‘한가위’ (0) | 2022.09.05 |
(얼레빗 제4742호) 세계서 가장 큰 김해 구산동 고인돌 파괴 (0) | 2022.08.31 |
(얼레빗 제4741호) ‘썩음’이 아닌 ‘삭음’에 멈추는 ‘젓갈’ (0) | 2022.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