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24절기의 다섯째 ‘청명(淸明)입니다. 청명은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뜻을 지녔습니다. 그런데 하루 차이인 내일은 명절의 하나로 지냈던 ’한식(寒食)‘입니다. 이 ’청명‘과 ’한식‘은 하루 전날이거나 같은 날이어서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청명조(淸明條)에 보면, 이날 버드나무와 느릅나무를 비벼 새 불을 일으켜 임금에게 바치는데 이를 “사화(賜火)”라 하며, 임금은 이 불을 문무백관과 360 고을의 수령에게 나누어줍니다. 수령들은 한식날에 다시 이 불을 백성에게 나누어주는데,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동안 밥을 지을 수 없어 찬밥을 먹는다고 해서 한식(寒食)이라고 하지요.
▲ 임금은 한식에 새불을 백성에게 나눠주었다. (그림 이무성 작가)
청명 무렵에는 논밭의 흙을 고르는 가래질을 시작하는데, 이것은 논농사의 준비 작업으로 봄밭갈이가 시작되는 것입니다. 이때는 가래질 말고도 논밭둑 다지기, 보리밭 매기, 푸성귀 씨앗 뿌리기 같은 일들을 하느라 일손 구하기가 힘들지요. 이날 제주도에서는 청명이나 한식은 땅에 있는 신들이 하늘로 올라간 날이어서 특별히 택일(擇日)하지 않고도 산소를 돌보거나 이장(移葬)을 해도 좋다고 믿으며, 손해를 끼치는 귀신이 없어서 집 고치기를 비롯해 아무 일이나 해도 좋다고 믿었지요.
청명 앞뒤에는 찹쌀로 술을 빚어 7일 뒤 위에 뜬 것을 걷어내고 맑은 것을 마시는데 이를 청명주(淸明酒)라 합니다. 특히 이때는 ‘내 나무’라 하여 아이가 혼인할 때 농을 만들어줄 재목감으로 나무를 심었습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나무타령을 부르기도 합니다. “청명 한식 나무 심자. 무슨 나무 심을래. 십리 절반 오리나무, 열의 갑절 스무나무, 대낮에도 밤나무, 방귀 뀌어 뽕나무, 오자마자 가래나무, 깔고 앉아 구기자 나무, 거짓 없어 참나무, 그렇다고 치자나무, 칼로 베어 피나무, 네 편 내 편 양편나무, 입 맞추어 쪽나무, 양반골에 상나무, 너하구 나하구 살구나무, 아무 데나 아무 나무...”
▲ 청명날, 아이가 시집갈 때 농짝을 만들어줄 '내나무'를 심었다. (그림 이무성 작가)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립된 조국에서 다시 봅시다” 순국 100년 만에 실현 (0) | 2023.04.06 |
---|---|
청명한 숨쉬기, 한국인의 친구였던 아사카와 다쿠미의 92주기 추모행사 열려 (0) | 2023.04.06 |
미츠다 교수가 본 '조선인 농경대(農耕隊) 강제노동', 일본의 조선인 강제징용 부정에 대한 반박 글 (3) (0) | 2023.04.05 |
탈주 위한 사투 '달리는 기차에서 뛰어내리다', 일본의 조선인 강제징용 부정에 대한 반박 '시' (2) (0) | 2023.04.04 |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9, 개화기 훈민정음 역사 (0) | 2023.04.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