滿堂歡樂不知暑 왁자지껄 떠드는 이들 더위를 모르니
誰言鑿氷此勞苦 얼음 뜨는 그 고생을 그 누가 알아주리.
君不見 그대는 못 보았나?
道傍갈死民 길가에 더위 먹고 죽어 뒹구는 백성들이
多是江中鑿氷人 지난겨울 강 위에서 얼음 뜨던 자들이란 걸.”

▲ 정강이가 드러난 짧은 옷, 발에는 짚신도 없이 얼음을 캐는 백성들(그림 오희선 작가)
위는 조선 후기의 문신 김창협(金昌協, 1651~1708)의 “얼음 뜨는 자들을 위한 노래(鑿氷行)”이란 한시 일부입니다. 입추가 지났지만, 말복이 아직 남아 불볕더위가 여전합니다. 예전 냉장고가 없던 조선시대엔 냉장고 대신 얼음으로 음식이 상하는 것을 막으려 했습니다. 그래서 한겨울 장빙군(藏氷軍)들이 한강에서 얼음을 떠 동빙고와 서빙고로 날랐는데 이들은 짧은 옷에 맨발인 자들도 있었다고 합니다.
그렇게 저장된 얼음은 한여름 궁궐의 임금과 높은 벼슬아치들 차지였는데 그들은 얼음을 입에 넣고 찌는 듯한 여름에도 더위를 모른 채 살아갑니다. 그러나 이때 길가에는 굶주리고 병들은 채 죽은 백성들의 주검이 나뒹굽니다. 그리고 그 죽은 백성은 지난겨울 맨발로 얼음을 뜨던 백성이었음을 그들은 알 리도 없고 관심도 없음을 시인은 고발하고 있습니다. 김창협은 숙종 때 대사성 등의 관직을 지냈으나, 기사환국으로 아버지 수항이 사약을 받은 뒤 관직도 사양하고 숨어 살았지요. 그는 문학과 유학의 대가로서 이름이 높았습니다.
'사진이 있는 이야기 >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레빗 제4846호) 칠월칠석, 짝떡을 먹는 ‘토종 연인의 날’ (0) | 2023.08.21 |
---|---|
상주 남장사 앞에서 본 귀한 벅수(석장승) (0) | 2023.08.20 |
간송 전형필, 문화보국을 실천하다 (0) | 2023.08.15 |
이승만은 국부가 될 수 없다 (1) | 2023.08.15 |
공학박사의 한글 이야기 28, 한글이 날개를 펼 때 (0) | 2023.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