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토 고려미술관 3

(얼레빗 4637호) 오백 년 역사를 가진 아름다운 조각보

“찹쌀로 밥을 짓고 미역으로 국을 끓였다 / 질그릇에 나물반찬을 담았으니 / 비록 박하지만 정성이 어려 있다 / 늙으신 어머니는 신(神)에게 절을 올려 기원하기를 / 아들의 수(壽)가 7~80살을 살게 해달라고 하였다(줄임) / 옛날 작은 몸으로 땅에 떨어졌을 때를 생각하면 / 빙설(氷雪)보다 맑고 구슬보다 밝았었다 / 잡으면 꺼질까 불면 날아갈까 하시며 / 보자기 속에 아이 키우던 그 정이 가련도 하다 / 해마다 운명(運命)과 관상(觀相)을 들먹이며 / 평탄하게 살다가 공명(功名)을 이룬다고 하였다.” ▲ 500년 된 합천 해인사 복장유물(보물 제1777호) 속의 보자기(문화재청 제공) 이는 한말의 학자이자 사상가인 해학 이기(李沂, 1848~1909)의 문집인 《해학유서(海鶴遺書)》에 나오는 시입니다..

(얼레빗 4529호)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바둑판

오늘 프로기사 신민준 9단이 LG배 결승3번기 최종국에서 중국 순위 1위인 커제 9단에게 승리하여 세계대회 첫 우승을 달성했다는 소식입니다. 그동안 세계 으뜸 기사라는 커제 9단에 열세였던 신민준 9단의 쾌거여서 바둑애호가들은 기뻐했습니다. 바둑은 오랜 옛날부터 우리 겨레가 즐겼던 놀이의 하나로 한ㆍ중ㆍ일 세 나라가 모두 좋아합니다. 바둑은 선인(仙人)들이 바둑 두는 것을 구경하던 나무꾼이 도끼자루 썩는 줄도 모를 정도로 세월이 지나 있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한 난가(爛柯)라는 말도 있다고 하지요. 또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끼리라도 바둑을 두면 마음이 통한다는 뜻으로 수담(手談)이라고도 부릅니다. 그래서 바둑판을 아끼는 이들도 많았고, 대단히 아름다운 바둑판도 전해져 옵니다. 특히 백제 마지막 임금인 의자..

(얼레빗 4155호) 사랑방에 있는 의걸이장, 안방의 버선장

한국문화편지 4155호 (2019년 08월 30일 발행) 사랑방에 있는 의걸이장, 안방의 버선장 [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4155][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판소리 “흥부가” 가운데 “화초장 타령”을 보면 놀부가 흥부네 집에 가서 화려한 모습의 화초장을 빼앗아 짊어지고 가는 장면이 나옵니다.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