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선일체 8

잊지 말아야 할 일제 강점기의 가혹한 일상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이 79돌 광복절을 맞아 민간이 소장했던 자료 속에서 찾은 일제 강점기 뼈아픈 역사를 살펴보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우리나라가 국권을 상실한 지 2~30년이 지난 1930~40년대 학교와 마을에서 당연한 듯 이루어진 신사 참배나 군사 훈련, 조국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동원되며 찍은 사진들은 그래서 더 가혹하게 다가온다. 신사 참배와 군사 훈련 현장 1930년대 중반, 공립 이리농림학교의 학생들이 날마다 일정한 시간 교내에 있는 일본 신사를 참배하고, 경성(서울)에 수학여행 간 학생들이 남산에 있는 신사를 참배한 뒤 찍은 사진이다. 학교에 다니는 내내 이루어진 신사 참배나 수학여행의 필수 코스인 남산 신사 참배는 은연중 일본이 원하는 신민이 되어가는 수순이었다. [사진1, 2] ▲ ..

(얼레빗 제4980호) 김동인, “천황폐하 아래서 조선과 일본은 형제"

“아베 씨 내 좋은 아이디어가 있소 / 광복 두 시간 전 총독부 학무국 / 동인이 찾아간 사무실 안 침묵이 흐른다 / 아 아베 씨 좀 보소 / 그걸 만듭시다 / 시국에 공헌할 작가 단을 꾸리자구요 / 아베, 머리 절레절레 흔든 뜻은 / 이런 쓰레기 같은 조선놈 / 세상이 어찌 돌아가는지도 모르고 아부하기에 바쁜 조선놈 / 어서 꺼졌으면 싶었겠지 / 그리고 두 시간 뒤 조선은 빛을 찾았다.” (뒤 줄임) 이는 이윤옥 시인의 친일문학인 풍자시집 《사쿠라 불나방》에 나오는 ‘김동인’ 시의 일부입니다. 소설가 김동인(1900∼1951)은 총독부에 빌붙어 광복 2시간 전까지 아첨했는데 그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또한 김동인은 1942년 1월 23일 의 “감격과 전장”이라는 글에서 “대동아전쟁이 발발하자 이제..

(얼레빗 제4924호) 삿ᄲᅩ로ㆍ아사히 맥주가 국산?

1915년 5월 4일 자 매일신보에는 국산 맥주광고가 등장했습니다. 그런데 실제로는 삿ᄲᅩ로 맥주와 아사히 맥주로 일제였지만, 일본과 조선을 하나로 하여 국산(國産)이라고 한 것입니다. 그런가 하면 1933년 5월 6일 자 동아일보에는 조선과 일본을 똑같이 짙은 색으로 표시하여 조선은 일본의 영토임을 표시하고 있습니다. 더구나 이 광고는 “동양의 맹주 일본! 동양의 명주 사쿠라”라고 광고문구를 썼고 이는 결국 사쿠라 맥주를 마시면서 조선은 영원히 우리의 기억 속에서 사라지게 하려는 흉계를 드러낸 것입니다. ▲ 1915년 5월 4일 자 매일신보에 ‘국산’으로 둔갑하여 실린 삿ᄲᅩ로ㆍ아사히 맥주광고 이러한 광고는 일본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조선으로 들여오면서 삽화나 광고문구를 바꾸지 않은 채 그대로 조선에서 ..

(얼레빗 제4888호) 일제강점기 신문광고, ‘우리의 옷감ㆍ자랑’

1933년 4월 9일 자 동아일보에 실린 경성방직주식회사의 태극성 광목 광고는 “우리의 옷감, 우리의 자랑”이라고 내세웁니다. 이어서 “틀림없는 품질은 외품(外品)을 단연 능가! ...... 아 당당한 우리 제품. 우리의 자랑거리며 가장 좋은 우리의 옷감”이라고 광고합니다. 또 1927년 10월 24일 자 중외일보에 실렸던 동양염직소의 광고는 “우리 2천3백만 동포는 우리의 앞길을 생각하시고 좌의 물품(동양저, 동양견, 해동목, 동양직)을 추장하시옵소서”라고 합니다. ▲ 1933년 4월 9일 자 동아일보에 실린 경성방직주식회사의 태극성 광목 광고 이 광고들은 ‘우리 국산품’, ‘우리 동포의 옷’ 등의 표현을 써서 은연중에 일본을 외국으로 취급하고 조선을 독립국가로 생각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지금 이..

(얼레빗 제4886호) 정인보, '오천년간 조선의 얼' 총독부가 압수

88년 전(1935년) 오늘(11월 29일) 정인보(鄭寅普, 1893~모름) 선생이 동아일보에 기고한 논설 '오천년간(五千年間)의 조선의 얼'이 조선총독부에 압수되었습니다. 일제강점기, 일본은 내선일체를 목표로 민족말살정책에 몰두했지요. 정인보 선생은 총독부가 조선을 영구 지배할 목적으로 조선의 역사를 뿌리부터 왜곡하는 '조선반도사'를 편찬할 때 이에 맞서 '오천년간 조선의 얼'을 집필한 것입니다. ▲ 《조선사연구》를 펴내고 민족정신을 드높인 정인보 선생(국가보훈부 제공) 선생은 1912년 중국 상해로 건너가 신채호(申采浩)ㆍ박은식(朴殷植)ㆍ신규식(申圭植)ㆍ김규식(金奎植) 등과 함께 동제사(同濟社)를 조직, 교포의 정치적ㆍ문화적 계몽활동을 주도하며 광복운동을 하였지요. 그러다 부인의 갑작스러운 죽음에 귀..

말모이, 말과 마음을 모으다

일제강점기, 말과 마음을 모은 우리의 사전 영화 포스터 ​ 영화 는 일제강점기에 일제에 항거하여 우리말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걸고 우리말 사전을 만들기 위해 헌신한 조선어학회 사건을 다룬다. 영화 속 조선어학회 대표 정환(윤계상)은 친일파인 아버지에 대한 반감으로 사전 말모이 작업에 헌신하지만 일제의 탄압은 심해진다. 한편 1940년대 경성에 있는 극장매표원으로 일하던 판수(유해진)는 해고당한 후 일자리를 찾다 우연히 조선어학회에서 허드렛일을 하게 된다. 이처럼 는 독립운동가들이 아닌 평범한 사람들이 일제의 탄압에 맞서 말과 마음을 모아 ‘우리말 큰사전’을 편찬한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10년 동안 돈을 모아야지, 말을 모아서 뭐해 얻다 쓰려고?” “어따 쓰긴요. 사전 만들어야죠” ​ ​ 문명 강..

러일전쟁 때, 조선땅에 3,920체(体)의 신궁대마가 봉안되었다

조선신궁 낙성식때 참석한 뒤 “화려했지만 왠지 쓸쓸한 모습” 이라고 낙성식 참석 소감을 촌평한 신도학자(神道学者) 오가사와라 쇼조(小笠原省三, 1892~1970)는 “일본 신사지만 조선신(단군)을 모셔야한다”고 주장한 사람이다. 일본신사에 단군을 모셔야한다는 주장은 언뜻 보면 조선을 위하는 것 같지만 사실 내용면에서는 맞지 않는 이야기다. 조선의 조상인 단군을 모시려면 단군사당을 지어서 모셔야하는 것이지 왜 일본신사를 지어 단군을 모셔야한다고 주장한 것일까? ▲ 경성 명소 조선신궁이라고 적혀 있는 엽서 (일본위키 제공) 이러한 사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는 한마디로 '일본과 조선의 조상이 같다’라는 이론으로 기다 사다기치(喜田貞吉, 1871~1939) ..

(얼레빗 4605호) 돌 깨는 산울림에 가슴에 금이 간 비둘기

“성북동 산에 번지가 새로 생기면서 본래 살던 성북동 비둘기만이 번지가 없어졌다 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에 떨다가 가슴에 금이 갔다 그래도 성북동 비둘기는 하느님의 광장 같은 새파란 아침 하늘에 성북동 주민에게 축복의 메시지나 전하듯 성북동 하늘을 한 바퀴 휘 돈다” ▲ 김광섭 시집 《성북동 비둘기》, 범우사(왼쪽) / 시인 김광섭(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위 시는 김광섭 시인의 대표작 일부입니다. 1960년대 초반 이 시의 배경이 되는 성북동 산 일대는 막 주택 단지로 개발되던 때였기에 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에 떨었는데 시는 이 시기 상황을 잘 그려내고 있습니다. 개발이라는 명목으로 자연이 파괴되면서 거기에 깃들여 살던 사랑과 평화의 새 비둘기도 오갈 데 없이 쫓기는 새가 되고 가슴에 금이 가고 말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