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5항 (2) ‘다만 2’는 ‘ㅖ’의 발음과 관련된 조항이다. 이중 모음 ‘ㅖ’는 표기대로 발음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예, 례’를 제외한 나머지 환경에서는 이중 모음 대신 단모음 [ㅔ]로 발음되는 경우가 매우 빈번하다. 그래서 이러한 발음 현실을 감안하여 ‘예, 례’와 같이 초성이 없거나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9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5항 (1) 이 조항은 국어 이중 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따르면 국어에는 총 11개의 이중 모음이 있다. 이러한 이중 모음은 그 구성 요소 중 하나인 반모음의 종류 및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ㅑ, ㅒ, ㅕ, ㅖ, ㅛ, ㅠ’는 각각 반모음 ‘ㅣ[j]’와 단모음 ‘ㅏ, ㅐ, ㅓ, ㅔ,..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8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4항 이 조항은 국어 단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국어 표준 발음으로는 10개의 단모음을 인정하고 있다. 그런데 자음과 달리 단모음의 개수는 지역이나 세대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다. 가령 방언에 따라 단모음의 수가 6개에서 10개까지 다양하며 같은 지역이라도 세대에 따라 차이가 나기..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7
제2부 표준 발음법 제2장 자음과 모음 제3항 이 조항은 국어 모음의 수를 규정하고 있다. 국어에는 총 21개의 모음이 있다. 이러한 모음은 크게 단모음(單母音)과 이중 모음으로 구분할 수 있다. 단모음은 발음할 때 입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모음이다. 반면 이중 모음은 발음할 때 입의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바..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10.15
제2장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제2절 모음 제10항 일부 방언에서는 이중 모음을 단모음으로 발음한다. 가령 ‘벼’를 [베]라고 발음하는 일이 있다. 또한 ‘사과’를 [사가]로 발음하는 것과 같이 ‘ㅚ, ㅟ, ㅘ, ㅝ’ 등의 원순 모음을 평순 모음으로 발음하는 일은 더 흔히 일어난다. 그러나 이 조항에서 다룬 단어들은 표준어 지역에서도 .. 우리말을 배우자/표준어규정 해설 2019.09.17